
도준석 전문기자
미국발 관세폭탄 여파로 국내 주식시장이 급락하면서 8개월 만에 사이드카가 발동된 7일 오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관계자들이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
도준석 전문기자
도준석 전문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전쟁이 전방위로 확산하면서 전 세계가 ‘경기 침체(Recession) 공포’에 떨고 있다. 지난 5일 10%의 기본관세에 이어 9일부터는 국가별로 차등화한 상호관세까지 부과하면 물가 상승과 실물경제 위축 등에 따른 R의 공포는 더욱 확산할 우려가 커졌다.
어제 국내 주식시장은 5.5% 이상 폭락하며 마감했다. 지난해 8월 ‘블랙먼데이’ 이후 8개월 만에 어제 오전 한때는 코스피 매도 사이드카가 발동됐다. 최근 정치적 불확실성 해소에 1430원대까지 떨어졌던 원달러 환율도 장중 1470원으로 한꺼번에 기록적으로 뛰었다.
트럼프 정부의 상호관세에 중국이 미국산 수입품에 34%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맞서면서 미중 간 무역전쟁도 악화일로다. 트럼프 대통령은 무역 적자 해소 전까지 중국과 협상하지 않을 것이라고 엄포를 놨다. 대미 수출 의존도를 낮춰 온 중국도 맞불 관세로 호락호락 물러서지 않겠다는 태도다. 미중 간 무역전쟁은 인플레이션 심화에 따른 경제성장률 하락 등 글로벌 경제 위기로 이어질 것이 자명하다. 미 정부가 9일부터 한국에 개별 상호관세까지 모두 25%를 부과하면 수출주도형 경제 구조에 타격이 불가피해 우리 경제는 더욱 쪼그라들 수밖에 없다. 한국은행은 세계 무역 갈등이 심화하면 올해 우리나라 성장률이 1.4%로 내려갈 수 있다고 전망했다. 글로벌 금융기관들은 이미 한국의 ‘1% 턱걸이 성장률’을 경고한 마당이다.
이 와중에 우리는 조기대선 블랙홀을 통과해야 하는 처지다. 통상 외교의 골든타임 두 달을 선거에만 빠져 흘려보낼 수는 없다. 관세 역풍을 맞은 미국 소비자들이 술렁거리고 있다. “버텨내라”고 큰소리는 치지만 트럼프 정부도 고민이 없을 수는 없을 것이다. 이런 틈을 잘 파고들어 관세율을 낮추는 협상의 고삐를 끝까지 놓지 말아야 한다. 당정이 가파르게 오르는 물가를 잡고 민생 회복을 위한 추경 편성, 민생 입법도 서둘러야 한다.
2025-04-08 3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