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합뉴스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아파트의 모습. 2025.06.19.
연합뉴스
연합뉴스
5대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이 지난 19일 기준으로 5월 말(748조 812억원)보다 4조원 가까이 증가했다. 하루 평균 2102억원씩 늘어난 것으로 지난해 8월 이후 10개월 만에 최대 증가폭이다. 이런 추세라면 이달 말까지 가계대출 증가액은 6조 3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 서울 아파트값이 6년 9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고, 코스피 지수 3000선 돌파 등 자산시장 열기가 달아오르면서 가계대출 수요를 자극한 결과로 분석된다. 다음달 시행되는 3단계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규제를 앞두고 대출 막차를 타려는 수요도 가계빚 급증에 영향을 미쳤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오늘 주요 은행장들과 모임을 갖고 가계대출 관리 등 현안을 논의한다. 일부 은행은 자체적으로 대출 조이기에 나섰다. 하지만 영혼까지 끌어서 대출로 집을 사고, 빚을 내 주식에 투자하는 빚투로 자산을 늘릴 수 있다는 기대심리가 지속되는 한 대출 증가 속도를 다잡기는 어려울 것이다.
우리나라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세계에서 다섯 번째로 높다. 가계빚이 많으면 소비 여력이 없어 내수 부진과 성장 둔화가 불가피하다. 한은의 기준금리 인하 정책에도 차질이 빚어진다. 지난달 금융통화위원회에서도 통화 완화가 집값과 가계대출을 올릴 가능성을 우려했다.
시장에서는 하반기에도 가계대출 증가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대출 금리 하락과 주택시장 호조, 새 정부의 증시 부양에 대한 기대감 때문이다. 정부와 금융당국은 자산시장 과열과 가계부채 급증이 경제 전체의 뇌관이 되지 않도록 선제적인 대응에 나서야 한다. 수도권 주택 공급 계획을 신속히 제시해 집값 상승 불안 심리에 따른 ‘패닉 바잉’ 확산을 서둘러 차단하는 게 급선무다. 코스피 불장 시기에 투자자들이 신용대출 등을 단기간에 크게 늘려 무리하게 빚투에 나서지 않도록 가계대출에 면밀한 관리가 필요한 시점이다.
2025-06-23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