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인의 날개달린 세상] 왕눈아, 힘내/탐조인·수의사

[주인의 날개달린 세상] 왕눈아, 힘내/탐조인·수의사

입력 2022-10-02 20:10
수정 2022-10-03 00:4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2021. 9. 유부도 바닷가에서 쉬고 있는 겨울깃의 왕눈물떼새.
2021. 9. 유부도 바닷가에서 쉬고 있는 겨울깃의 왕눈물떼새.
조용한 새벽 시간 유부도 바닷가에서 새들을 본다. 새들이 놀라지 않게 조심조심 움직여서 우리가 배경에 젖어 들자 새들은 우리를 많이 신경쓰지 않고 쉰다. 새와 함께 해를 기다리는 것, 벅찬 설렘이다.

해가 뜨고 새들이 날기 시작해서 우리도 숙소로 되돌아간다. 모래 위에 엎어진 새 하나. 무슨 새인지 궁금한 나는 나뭇가지를 들어 새를 뒤집는다. 꿈틀~. 죽은 게 아닌가? 심박을 느낄 수 있을까 싶어 장갑 낀 손으로 조심스레 새를 잡아 올리니 조금 더 움직이다 이내 축 늘어진다. 다친 곳은 없어 보이는데 몸이 차고 기력이 없다. 아마 번식지에서 한국의 갯벌까지 오느라 힘을 다 쓴 것이리라. 일단 떨어진 체온을 올리고 설탕물을 먹여 수분과 당을 공급해야 할 것 같다.

장갑 낀 두 손으로 새를 감쌌다. 캄차카 등지의 고위도 지역에서 번식하고 동남아나 남반구까지 날아가 월동하는 왕눈물떼새다. 워낙 장거리를 이동하기 때문에 중간 쉼터인 한국의 갯벌에서 쉬며 보급하고 살을 찌워야 한다. 갯벌은 왕눈물떼새에게 생명의 땅이고 목숨줄이다.

숙소에 가서 부드러운 티슈로 왕눈이를 감싸고 따뜻한 물에 백설탕을 녹였다. 몸이 살짝 따뜻해지자 처음 감쌌을 때보다 움직임이 조금 활발해졌지만 여전히 기운이 없다. 면봉으로 설탕물을 콕콕 찍어 부리 틈으로 넣어 주었다. 새를 보러 같이 간 일행들도 얼른 아침을 먹고 왕눈이를 따뜻하게 해주고 설탕물 먹이는 것에 동참한다. 처음보다 나아지는 모습에 모두 기뻐한다. 알고 보니 나보다 앞에서 걸어간 사람들이 볼 때는 날았었다고 했다. 마지막 힘을 다해 날고는 탈진해서 엎어졌나 보다. 빨리 발견해서 다행이다.

먼바다 풍랑주의보 때문에 혹시 섬에 갇힐까 싶어서 예정보다 일찍 나가기로 했다. 섬에서 새를 더 못 보는 아쉬움보다 왕눈이를 더 오래 돌보지 못하고 보내야 하는 안타까움이 더 크다. 뭍에 데려가서 기력이 완전히 회복되기를 기다릴 수 있으면 좋지만, 무리에서 떨어지는 게 바람직하지 않을 것 같아서 섬을 떠날 때까지만 돌보고, 그후엔 몸을 숨길 수 있는 바닷가 덤불에 내려 줘서 스스로 기운을 차리도록 하자고 결론 내렸다. 다행히 고개도 들고 날개도 퍼덕인다. 해가 떴으니 이제 체온이 내려가진 않겠지. 왕눈아, 힘내. 꼭 스스로 먹고 기운 차려서 월동지까지 잘 날아가라. 다음에 또 들를 수 있게 갯벌은 우리가 지킬게.

2022-10-03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