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수현 국립현충원장](https://img.seoul.co.kr/img/upload/2017/07/06/SSI_20170706180218_O2.jpg)
![안수현 국립현충원장](https://img.seoul.co.kr//img/upload/2017/07/06/SSI_20170706180218.jpg)
안수현 국립현충원장
과거 호국보훈의 달에는 학교 등 대부분의 교육기관들이 의무적으로 호국 관련 행사를 개최하여 나라를 위해 희생하신 분들을 기억하고 그분들의 숭고한 넋을 기리는 다짐을 함으로써 나라 사랑하는 마음을 다졌다. 하지만 근래에 들어 이러한 호국 행사들이 줄어들고 있다. 현충원 역시 처음 국군묘지가 조성되었을 당시에는 유가족들이 자주 찾아왔지만 반세기가 지나 부모세대는 이미 돌아가신 분들이 많고 형제자매 역시 연로해서 찾아오는 분들이 점차 줄어들고 있다.
6·25전쟁의 혼란 속에서도 조국을 위해 충성과 희생을 마다하지 않았던 당시의 젊은이들이 있었기에 오늘의 우리가 자유와 평화를 누리고 있는 것인데 한국전쟁 67년을 지나는 동안 이분들에 대한 존경과 감사한 마음을 잊고 산 것은 아닌지 깊이 되돌아볼 일이다. 최근 초·중·고교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현충일이 무슨 날인지, 6·25전쟁이 언제 어디서 일어났는지, 남침인지 북침인지 등을 잘 알지 못하는 학생들이 많다고 하니 참으로 안타까운 현실이다.
올해 들어서도 북한은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급을 비롯해 중·장거리 미사일을 계속 발사하는 등 도발을 멈추지 않고 있어 우리의 안보 상황은 예나 지금이나 크게 달라진 것이 없다. 따라서 지금이 반세기 이상 지속되는 북한의 위협에 둔감해지고 번영과 평화로움에 젖어 자칫 정신적·물리적 대비가 소홀해지지는 않고 있는지 반성해 볼 시점인 것 같다.
‘국교(國敎)와 국사(國史)가 망하지 아니하면 국혼(國魂)은 살아 있으므로 그 나라는 망하지 않는다.’ 현충원 묘역에 모셔진 독립운동가 박은식(1859~1925) 선생이 지으신 한국통사의 내용이다. 민족이나 국가의 혼은 특히 그 나라의 역사에 담기는 것이며, 따라서 역사가 존재하는 것에는 국혼이 존재하고 역사가 존속하면 그 나라는 망하지 않는 것이라 했다. 이는 박은식 선생께서 일제강점기 국민들이 민족혼을 잃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지으신 것이다. 그러나 박은식 선생의 이 말씀은 오늘날 우리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현재의 우리는 다양한 매체들 속에서 살아가고 있지만 우리가 매스컴에서 만들어지는 유명인들에게 집중하기보다 박은식 선생의 말씀처럼 국교와 국사를 잊지 않는 방안은 없을까? 6·25전쟁 같은 국가재난 시 국가를 위해 아무런 대가 없이 목숨을 바친 전몰군경과 참전용사들, 타인의 생명을 구하다 희생된 순직군경 및 의사상자들에 대해 늘 기억하고 감사하는 문화가 형성된다면 호국보훈의 달을 강조하지 않아도 우리들의 마음속에는 항상 나라사랑 정신과 애국심이 담겨져 있을 것이다.
매일 아침 출근길에 감사, 추모, 평화, 고귀한 희생 등의 글귀가 새겨진 현충원 외곽 담장길을 걸으며 다짐해 본다. 현충원장이라는 자리가 결코 가볍지 않지만 이곳 현충원에 잠들어 계신 17만 7000여위의 순국선열과 호국영령들을 편안히 모시고 미래세대에게 선열들의 거룩한 위업을 알리는 것에 무한한 책임의식을 갖고 본연의 역할을 다할 것을 말이다.
호국보훈의 달을 보내며 국민 모두가 오늘의 대한민국이 있기까지 목숨 바쳐 싸우신 순국선열과 호국영령들에 대한 감사를 깊이 체험하고 그분들의 숭고한 애국심을 다시 한번 되새겨 보길 바라 본다.
2017-07-07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