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달용 캐나다 사이먼프레이저대 교수
그러나 선진국 간에는 때로는 정반대의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다른 요인들이 있다는 뜻이다. 최근 북미의 두 선진국인 미국과 캐나다에서 사람들이 움직이는 형태를 보면 이를 잘 알 수 있다. 전통적으로는 캐나다 국민들이 미국으로 이주하는 숫자가 미국에서 캐나다로 이주하는 숫자보다 많다. 하지만 이러한 이주 형태가 21세기 들어와서 상당히 큰 정도로 바뀌어 가고 있다. 더 많은 미국 국민들이 캐나다로 발걸음을 옮기거나 이주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세 가지 주요 원인이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첫 번째는 캐나다가 미국보다 더 개방적이기 때문이다. 예들 들어 미국에서는 최근 몇 년 사이에 주별로 동성애를 합법화하고 있으나 캐나다에서는 이미 10년 전부터 국가 차원에서 이를 합법화했다. 미국에서 따가운 눈총을 받아야 했던 동성애 커플들이 국경 너머로 이주하는 배경이다.
두 번째는 대학 교육과 관계가 있다. 전 세계의 많은 고등학생들이 미국 대학을 두드리고 있는 동안 많은 미국인들이 캐나다 대학으로 진학하고 있다. 치솟는 대학 등록금과 생활비를 감당하기 어려워지자 양질의 교육을 싸게 누릴 수 있는 캐나다 대학으로 진학하는 학생들이 많아졌다.
세 번째는 미국의 현실 정치 때문이다. 2016년에 실시되는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트가 공화당의 대통령 후보로 윤곽을 드러내자 지나친 보수화를 싫어하는 사람들이 캐나다 이민을 고려하고 있다. 아직 본격적으로 실현된 것은 아니나 미국보다 상대적으로 정치적 변동이 적고 안정적인 캐나다에서의 삶을 알아보고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국이 캐나다보다 잘사는 나라이고 더 혁신적이고 역동적이라는 점에서 이러한 현상은 다소 의외라고 생각될 수 있다. 결국 미국인들의 캐나다행은 돈과 명예 등 세속적인 가치가 아니라 캐나다가 줄 수 있는 장점을 고려한다고 보아야 할 것 같다.
캐나다는 우선 미국보다 시민 친화적인 정책을 우선한다. 모든 제도를 한꺼번에 바꾸지는 않아도 올 초 캐나다의 신임 총리가 내각의 남녀 구성을 동수로 한 것에서 나타나듯이 변화에 대한 반응이 시대와 시민 친화적이다. 캐나다는 또 상대적으로 국가 전체가 시스템으로 움직이고 있다. 교육·의료 체제, 그리고 연금 등 사회보장 제도가 체계화되어 있어 여당과 야당 간의 정치적 견해차가 적다. 무엇보다 캐나다는 이러한 시민친화적 정책과 시스템을 통한 운영을 토대로 예측 가능한 삶을 영위하게 한다.
앞으로 사람들의 국가 간 이동은 해당 국가가 얼마나 예측 가능한 사회인가에 따라 달라질 수밖에 없다. 글로벌 사회에서의 한국의 지향점이기도 하다.
2016-05-23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