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갑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
외국 상황을 보면 높은 접종률을 달성하면서 일상회복을 추구했던 국가들도 유행 추이와 국민들의 공감대에 따라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가고 있다. 영국은 사망자가 매일 100명 이상 발생하고 있으나 지난겨울에 비해 사망자가 90% 이상 감소하면서 방역 완화를 유지하고 있다. 싱가포르도 점진적으로 거리두기를 완화했지만 9월 중순 이후 확진자가 하루 1000명 이상으로 급증하면서 다시금 거리두기를 강화하는 쪽으로 선회했다.
우리는 앞으로 어떤 길을 걸어야 할까. 현재 예방 접종률이 오르면서 위중증 환자는 8월에 비해 100명 이상 감소한 320명 정도에 머물고 있다. 확진자가 일부 늘어나더라도 의료체계가 버틸 만한 상황은 됐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지역사회의 유행을 최소화하기 위해 확진된 모든 환자를 생활치료센터나 감염병전담병원에서 담당하기 때문에 재택치료를 확대하지 않는 한 언제라도 의료체계 과부하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국민들이 재택치료도 안전할 수 있다는 인식을 가질 정도로 충분한 설득이 필요하고 고위험군 환자들에 대한 적극적인 치료약제의 사용이 필요하다.
사회적 거리두기의 요소 중 비용 대비 효과가 낮은 건 점진적으로 해제하고 신규 확진자와 위중증 환자 추이를 확인하면서 조금씩 정책 변화를 유도해야 한다. 다만 확진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해 위중증 환자가 의료체계가 감당할 수 없는 수준으로 늘어날 조짐이 보이면 거리두기를 다시 강화할 수 있다는 것도 국민들께 소상히 밝혀야 한다.
현재 3000여명 수준의 확진자 발생을 감당할 수 있다고 정부가 밝혔는데 그렇다면 그 이상으로 확진자가 늘어나면 더이상의 거리두기 완화는 진행할 수 없고 예상 밖으로 악화된다면 다시 거리두기를 강화해야 한다.
접종완료율이 더 오르고 의료체계도 확충된다면, 예를 들어 11월 이후에는 확진자 5000여명 수준, 내년 봄에는 1만명 수준, 그 이후에는 더 많은 환자가 발생하더라도 관리 가능할 수 있도록 세부계획을 마련해야 한다. 그리고 국민과 소통함으로써 합의를 이루어야 한다. 충분히 계획하고 점진적으로 이루어지는 단계적 일상회복이 되지 않으면 언제든 파국을 맞을 수 있기 때문에 섬세하고 치밀한 준비를 해야 한다.
국민과 함께 어렵게 코로나19의 위기를 이겨내며 여기까지 왔다. 단계적 일상회복은 우리가 코로나19 유행의 끝을 어떻게 마무리할 것인가에 대한 국가 차원의 중대한 문제이다. 다른 나라의 사례도 참고만 될 뿐 우리나라에 바로 적용할 수 없다. 결국 우리 길은 우리가 찾아내야 한다. 국민과 정부, 전문가가 함께 머리를 맞대어 치열하게 논쟁하면서 준비하고 함께 걸어가야 한다.
2021-09-28 29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