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HD 음영지역 제거 기술
고화질(HD) TV 방송보다 4배 이상 더 선명한 화질을 보여 주는 초고화질 방송(UHD)이 2013년 시험 방송으로 시작해 2016년 7월에는 지상파 방송표준을 북미식(ATSC)으로 결정하고 2017년 5월 31일 본방송을 수도권에서 시작했다.UHD 방송의 가장 큰 문제는 대중화이다. 이를 위해서는 효율적인 UHD 방송망 구축이 중요하다. 국내 연구진이 처음으로 주파수 문제를 해결할 동일채널 UHD 중계기를 개발했다. TV 방송을 보내는 송신소의 전파를 증폭해 재송신하는 방식이다. 기존 일반 중계기는 전파 간섭을 피하려 송신소 주파수와 다른 주파수로 신호를 중계해 왔는데 주파수 이용 효율이 낮다는 게 큰 흠이었다.
연구진이 개발한 기술은 송신소 신호를 중계할 때 원 주파수로 왜곡 없이 보내기 때문에 화질이 좋다. 이로써 주파수 고갈이라는 문제에서도 자유롭다. 또 산간벽지나 도심지 등 전파가 차단되는 지역에서도 방송 시청을 가능하게 해 준다. 이 기술에서는 6개의 안테나를 사용해 자동으로 필요한 신호는 증폭하고, 간섭 신호를 억제하는 ‘적응형 배열’ 안테나 기술이 핵심이다. 현재는 기술의 현장 실증을 위해 방송 음영지역에 위치한 KBS 중계소에 설치해 운용 중이다.
이미 개발에 성공해 UHD TV에 적용 중인 전송기술, 고효율압축코덱 기술에 이어 또 하나의 핵심기술이 UHD에 탑재됨으로써 향후 기술료 수입 증대는 물론 UHD 방송시장 선점과 관련 장비 인프라 확충에 큰 도움을 줄 것이다.
박성익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2020-09-22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