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과학 따라잡기] 열 손가락마다 서로 다른 촉감

[요즘 과학 따라잡기] 열 손가락마다 서로 다른 촉감

입력 2021-03-29 20:20
수정 2021-03-31 15:5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LED 이용한 햅틱기술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연구진이 LED 빛 신호를 이용해 다양한 진동 자극을 만들었다. 낮은 출력의 광신호를 진동으로 바꾼 것이다. 광원 가격을 기존 대비 1만분의1로 낮출 수 있고 크기도 대폭 줄일 수 있다. 이 기술은 여러 손가락을 동시에 이용해 터치를 하는 곳에 최적화될 전망이다.

햅틱 기술은 촉각으로 사용자와 교감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기술이다. 터치스크린 기기와 원격 작업의 확산에 따라 스마트폰 진동뿐 아니라 가전, 의료기기, 게임 등 적용 분야가 많아지면서 정밀성과 안전성을 갖춘 기술 수요가 높아지는 추세다. 그동안 햅틱 기술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화면을 터치했을 때 진동을 느끼게 하는 정도로만 일부 적용됐다. 현재 상용화된 기술은 기기 전체가 모노 스피커처럼 떨린다. 이 때문에 화면에 여러 손가락을 다른 위치에 대더라도 모두 같은 진동이 느껴진다.

ETRI가 만든 기술은 손가락의 위치에 따라 모두 다른 진동이 느껴지도록 했다. 온라인 쇼핑에서 상품의 재질감을 느끼는 데도 쓰일 수 있다. 이 기술은 빛에너지를 흡수해 열에너지로 전환하는 원리를 이용한다.

광ㆍ열 변환층이 코팅된 특수 필름에 빛을 쬐면 가열·냉각과 함께 소재의 열 팽창률에 따라 필름이 변형·회복되면서 진동을 만드는 방식이다. 자동차, 전자기기 등에서 다이얼을 돌리는 촉감, 버튼을 누르는 촉감, 미는 촉감 등 다양한 느낌을 동시에 만들어 낼 수 있다.

윤성률 ETRI 휴먼증강연구실 책임연구원
2021-03-30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