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로소 봄이 되어 식물은 하나둘 꽃을 피우고 잎을 틔우기 시작했다. 이들은 세상사에 관심 없는 듯 껌뻑 잠들어 있는 것 같으면서도, 언제 이 계절의 변화를 알았는지 때에 맞춰 꽃을 피우고 있다. 식물이 꽃을 피워야 할 때를 아는 건 온도의 변화 때문이라고 생각하겠지만, 이들에는 온도 말고도 해의 길이를 감지하는 호르몬이 있고, 덕분에 해가 얼마나 길어졌는지, 짧아졌는지로 계절의 변화를 알아차린다.
나무에 핀 꽃을 보며 지난해 읽었던 책의 한 구절이 떠올랐다. ‘추우면 힘들긴 하지만 춥지 않으면 만들 수 없는 것도 있어.’
이른 봄에 꽃을 피우는 식물 중에는 겨울을 지났기에 비로소 꽃을 피울 수 있는 식물들이 많다. 겨울 동안 낮은 온도에 노출되어 꽃 분화가 일어나고, 그 덕에 봄에 꽃을 피우게 된다. 대표적인 식물이 개나리다.
개나리는 우리나라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식물이다. 물을 좋아하는 개나리의 성질 때문에 예전에는 빨래터나 우물 근처에서 볼 수 있었지만, 신도시가 생기면서부터는 하천이나 다리 근처에서도 볼 수 있게 되었다. 물론 건물이나 도로 옆 울타리에서도 흔하다.
누군가는 이들의 화려한 색 때문에 개나리가 외국 식물이라고 착각하지만, 개나리는 우리나라 자생식물이다. 개나리의 학명 종소명에는 ‘koreana’가 붙고, 이름에서 한국 원산의 식물이라는 걸 알 수 있다. 게다가 이들은 전 세계에서 우리나라에서만 자생하는 소중한 한국특산식물이다. 최근에 국립수목원에서는 식물 이름을 바로잡는 프로젝트를 했는데, 개나리의 영명(영어이름)을 ‘Gaenari’라고 부르도록 추천명을 내세웠다. 외국 사람들에게도 이 노란 꽃을 ‘개나리’라는 발음으로 자신 있게 소개해도 되는 것이다.
그러나 여느 식물들처럼, 처음으로 개나리를 발견해서 세계에 존재를 알린 사람이 우리나라 사람은 아니다. 1900년대 러시아 식물학자 팔리빈이 우리나라에 와 처음으로 개나리를 발견한 기록이 있는데, 이때 그는 개나리를 중국 원산의 다른 식물로 착각했다. 이후 1924년 아시아의 식물을 연구하던 하버드대 식물원의 식물학자 윌슨이 처음으로 개나리를 한국에서만 자생하는 한국특산식물이라고 발표했다. 그리고 당시 개나리 표본은 지리산에서 발견된 것이었다.
그렇다면 지금 지리산에 가면 자생하는 개나리를 볼 수 있을까? 지리산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산 어디를 가도 현재는 자생하는 개나리를 볼 수 없다. 산에서 개나리를 봤다면 개나리와 비슷한 다른 종인 산개나리일 확률이 높다. 혹은 최근에 번식하거나 식재된 개나리일 뿐이다.
개나리는 과거에 존재했다는 증거는 있지만 현재는 자생하는 개체가 없다. 식물학자들은 개나리의 자생지를 찾기 위해 무던히 애를 쓰지만, 찾지 못했다. 딱 한 번 자생 개나리 군락을 보았다는 발표가 있었는데, 확인해 보니 이는 최근에 번식해 자란 것이라는 결론이었다. 결국 개나리는 우리나라 자생식물이지만 또 완전히 자생한다고 볼 수 없는 식물인 셈이다.
게다가 도시의 개나리는 스스로 번식하지 못하는 식물이 되어 간다. 개나리의 열매를 봤다는 사람을 별로 보지 못했다. 도시의 개나리는 대부분 수꽃과 비슷한 개념의 단주화라, 홀로 수정을 못 하고 열매를 못 맺기 때문이다.
개나리에는 두 가지 꽃이 있다. 암꽃과 수꽃의 개념과는 조금 다른 단주화와 장주화. 단주화는 암술이 퇴화해 작고 수술이 발달한 꽃이고 장주화는 수술이 퇴화해 작고 암술이 발달한 꽃이다. 수정해 열매를 맺으려면 이 두 꽃이 필요하다. 그런데 도시에 심은 개나리는 대부분 단주화다. 수꽃의 기능만 가능한 나무들 천지라 번식을 할 수 없다. 그래서 이들은 스스로 번식하지 못하고 인간에 의한 꺾꽂이와 같은 방식으로만 번식이 가능하다.
우리 주변에 개나리가 흔하다고, 개체 수가 많다고 안심할 수 있는 게 아니다. 자생하는 개체도 없는 데다 도시의 개나리까지 번식하지 못하는 형태로 가다 보면 유전적 다양성이 없어져 최후에 개나리는 멸종될 것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언젠가 지도교수님이 개나리 사진이 필요해 지금까지 찍은 식물 사진을 찾다가 개나리 사진을 찍은 바가 없다는 사실을 깨닫고 놀랐다는 이야기를 하신 적이 있다. 식물을 평생 해 왔는데, 멸종위기식물이나 특산식물과 같은 주요 식물은 수십장이나 찍었으면서, 우리 곁에 늘 존재해 왔고, 흔히 볼 수 있는 개나리는 오히려 사진을 찍지 않았다는 사실에 놀랐다고 했다. ‘또 찍을 수 있겠지. 다른 데 많더라’는 생각이 개나리에 소홀하게 만든 것이다.
지금이야 도시 어디에서든 개나리를 볼 수 있지만, 개나리에 대항하는 바이러스가 나타났다든가, 해충의 해를 입는다든가, 개나리가 언제든 우리 곁에서 사라질 가능성은 농후하고, 이 재앙에 대응하기 위해서 우리는 유전적 다양성을 가진 자생 개나리를 찾고, 연구하는 일이 필요하다. 그리고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건 올봄에 필 노란 개나리를 한 번 더 돌아보고, 꽃을 자세히 들여다보는, 개나리를 향한 우리의 관심과 사랑이 아닐까.
매년 3, 4월이면 도시 곳곳에서 봄을 알리며 피어나는 개나리. 화려한 색 때문에 개나리가 외국 식물이라고 착각하지만 개나리는 우리나라 자생식물이다. 1, 꽃이 달린 가지. 2, 잎. 3, 열매. 4, 종자.
이소영 식물세밀화가
개나리는 우리나라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식물이다. 물을 좋아하는 개나리의 성질 때문에 예전에는 빨래터나 우물 근처에서 볼 수 있었지만, 신도시가 생기면서부터는 하천이나 다리 근처에서도 볼 수 있게 되었다. 물론 건물이나 도로 옆 울타리에서도 흔하다.
누군가는 이들의 화려한 색 때문에 개나리가 외국 식물이라고 착각하지만, 개나리는 우리나라 자생식물이다. 개나리의 학명 종소명에는 ‘koreana’가 붙고, 이름에서 한국 원산의 식물이라는 걸 알 수 있다. 게다가 이들은 전 세계에서 우리나라에서만 자생하는 소중한 한국특산식물이다. 최근에 국립수목원에서는 식물 이름을 바로잡는 프로젝트를 했는데, 개나리의 영명(영어이름)을 ‘Gaenari’라고 부르도록 추천명을 내세웠다. 외국 사람들에게도 이 노란 꽃을 ‘개나리’라는 발음으로 자신 있게 소개해도 되는 것이다.
개나리에는 두 종류의 꽃이 있다. 수꽃과 비슷한 역할을 하는 단주화(왼쪽)와 암꽃과 비슷한 장주화(오른쪽).
그렇다면 지금 지리산에 가면 자생하는 개나리를 볼 수 있을까? 지리산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산 어디를 가도 현재는 자생하는 개나리를 볼 수 없다. 산에서 개나리를 봤다면 개나리와 비슷한 다른 종인 산개나리일 확률이 높다. 혹은 최근에 번식하거나 식재된 개나리일 뿐이다.
개나리는 과거에 존재했다는 증거는 있지만 현재는 자생하는 개체가 없다. 식물학자들은 개나리의 자생지를 찾기 위해 무던히 애를 쓰지만, 찾지 못했다. 딱 한 번 자생 개나리 군락을 보았다는 발표가 있었는데, 확인해 보니 이는 최근에 번식해 자란 것이라는 결론이었다. 결국 개나리는 우리나라 자생식물이지만 또 완전히 자생한다고 볼 수 없는 식물인 셈이다.
게다가 도시의 개나리는 스스로 번식하지 못하는 식물이 되어 간다. 개나리의 열매를 봤다는 사람을 별로 보지 못했다. 도시의 개나리는 대부분 수꽃과 비슷한 개념의 단주화라, 홀로 수정을 못 하고 열매를 못 맺기 때문이다.
개나리에는 두 가지 꽃이 있다. 암꽃과 수꽃의 개념과는 조금 다른 단주화와 장주화. 단주화는 암술이 퇴화해 작고 수술이 발달한 꽃이고 장주화는 수술이 퇴화해 작고 암술이 발달한 꽃이다. 수정해 열매를 맺으려면 이 두 꽃이 필요하다. 그런데 도시에 심은 개나리는 대부분 단주화다. 수꽃의 기능만 가능한 나무들 천지라 번식을 할 수 없다. 그래서 이들은 스스로 번식하지 못하고 인간에 의한 꺾꽂이와 같은 방식으로만 번식이 가능하다.
우리 주변에 개나리가 흔하다고, 개체 수가 많다고 안심할 수 있는 게 아니다. 자생하는 개체도 없는 데다 도시의 개나리까지 번식하지 못하는 형태로 가다 보면 유전적 다양성이 없어져 최후에 개나리는 멸종될 것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언젠가 지도교수님이 개나리 사진이 필요해 지금까지 찍은 식물 사진을 찾다가 개나리 사진을 찍은 바가 없다는 사실을 깨닫고 놀랐다는 이야기를 하신 적이 있다. 식물을 평생 해 왔는데, 멸종위기식물이나 특산식물과 같은 주요 식물은 수십장이나 찍었으면서, 우리 곁에 늘 존재해 왔고, 흔히 볼 수 있는 개나리는 오히려 사진을 찍지 않았다는 사실에 놀랐다고 했다. ‘또 찍을 수 있겠지. 다른 데 많더라’는 생각이 개나리에 소홀하게 만든 것이다.
지금이야 도시 어디에서든 개나리를 볼 수 있지만, 개나리에 대항하는 바이러스가 나타났다든가, 해충의 해를 입는다든가, 개나리가 언제든 우리 곁에서 사라질 가능성은 농후하고, 이 재앙에 대응하기 위해서 우리는 유전적 다양성을 가진 자생 개나리를 찾고, 연구하는 일이 필요하다. 그리고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건 올봄에 필 노란 개나리를 한 번 더 돌아보고, 꽃을 자세히 들여다보는, 개나리를 향한 우리의 관심과 사랑이 아닐까.
2018-03-29 29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