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산업 발전 위한 릴레이 제언] 평창, 무엇을 남길 것인가/여형구 평창올림픽조직위 사무총장

[관광산업 발전 위한 릴레이 제언] 평창, 무엇을 남길 것인가/여형구 평창올림픽조직위 사무총장

입력 2016-08-11 22:42
수정 2016-08-12 00:0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우리는 무엇을 남길 것인가. 2018년 동계올림픽을 준비하고 있는 평창올림픽조직위원회가 안고 있는 가장 큰 숙제다. 이른바 ‘레거시 플랜’.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우리에게 요구하고 있는 ‘레거시 플랜’은 평창올림픽을 치른 뒤 후세에게 남길 그 무엇을 준비하라는 것이다.

이미지 확대
여형구 평창올림픽조직위 사무총장
여형구 평창올림픽조직위 사무총장
1988년 서울올림픽은 잠실경기장과 몽촌토성을 남겼다. 88올림픽 당시의 경기 시설이 들어서 있는 잠실경기장과 올림픽공원은 이제 서울시민에게 없어서는 안 될 시설이 됐다. 평창올림픽이 열리는 강원도 강릉과 평창도 1999년 강원동계아시안게임을 치렀다. 그런데 다수의 국민은 이 사실을 잊고 있다. 아시안게임 유산을 많이 남기지 못했기 때문이다. 당시 경기를 치렀던 시설들이 대부분 다른 용도로 바뀌어 운영되고 있는 탓에 강원도를 찾는 국민이 역사적 사실을 기억해 내기 힘들다.

그러나 캐나다, 스웨덴, 핀란드 등 겨울스포츠 선진국에서는 소규모 도시가 실내링크를 다수 보유하고 있는 곳이 많다. 동계올림픽을 치렀던 캐나다 캘거리의 예를 들어보자. 캘거리의 인구는 대략 100만명이지만 인근에 50여개의 실내링크가 있다. 빙질이 좋은 오벌 경기장은 세계 각국의 빙상 선수들이 모여 훈련을 하는 곳이기도 하다. 캘거리시는 스키점프대가 있는 곳에 올림픽파크를 조성해 30년 전의 영광을 보존하고 있고, 최근에는 4면의 실내링크를 추가로 만들었다고 한다. 동계올림픽의 유산을 잘 활용함으로써 밴프국립공원의 길목에서 관광지의 역할을 잘 해내고 있는 것이다.

평창과 강릉은 승용차로 20~30분이면 도달할 수 있는 지척이다. 또 대관령면에서 약 10㎞ 거리의 월정사와 상원사는 1400년의 역사가 살아 숨 쉬는 한국의 관광지이기도 하다. 여러모로 캘거리처럼 발전시킬 수 있는 여지가 많다. 최근 평창을 방문한 타이거 쇼 미국스키협회장은 “콜로라도주의 베일시, 유타주의 파크시티와 유사하다”고 했다. 둘 다 별장지대로 소문난 곳이며 세계적인 관광지다.

강원도는 인구 약 150만명의 작은 지자체다. 높은 산이 많아 예로부터 심심산천으로 불렸다. 그래서 인구 이동도 쉽지 않았고, 타 지역에 비해 개발 속도가 더뎠다. 하지만 평창올림픽을 계기로 인천공항에서 강원도의 끝 강릉까지 90분대에, 서울에서는 1시간 이내에 도달할 수 있는 반나절 생활권이 된다. 평창과 강릉의 동계스포츠 시설들과 숙박시설, 그리고 천혜의 자연경관이 융합된다면 머지않아 아시아 최고의 관광지로 발돋움하게 될 것이다. 거기에 친절과 서비스 정신으로 똘똘 뭉친 강원도민들이 올림픽 손님들을 감동시킨다면 평창동계올림픽의 유산은 세계의 자랑거리가 될 것이다.

여형구 평창올림픽조직위 사무총장
2016-08-12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