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잡초/이춘규 논설위원

[길섶에서] 잡초/이춘규 논설위원

입력 2010-06-04 00:00
수정 2010-06-04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늦은 봄 고향에 가 가족묘를 살폈다. 잔디에 섞여 웃자란 잡초들이 눈에 거슬렸다. 준비도 안 하고 가 맨손으로 몇 개 뜯어냈다. 보기에 한결 좋았다. 내친 김에 잡초를 모두 뽑고 잘라버렸다. 묘가 산뜻해져 뿌듯했다. 그런데 작업을 한 오른 손목이 따끔거렸다. 무심코 지나쳤다.

다음날 오른 손목 주변에 붉은 반점 50여개가 솟아났다. 접촉성피부염인 풀독이었다. 보기 흉했다. 가려웠다. 쑥을 이용해 며칠간 민간요법 치료를 했으나 차도가 없었다. 5일이 지난 뒤에야 병원을 찾아 주사 맞고 처방약을 먹었다. 근무 중 졸림이 심하지만 겨우 나아간다.

풀·나무·열매는 스스로 못 움직이지만 해충 공격을 막아내기 위해 독을 지닌단다. 종족보전을 위해 성장기 때는 더 독하다. 나무들이 해충을 물리치려 뿜어낸다는 피톤치드는 일부 질환 치유 효과도 있다지만 유기농산물을 포함한 일반 식물의 인체 유해 독 함유 여부는 논란 중이다. 잡초도 정말 자기방어를 위해 독을 내뿜을까. 잡초라고 가볍게 다뤘다가 혼났다.

이춘규 논설위원 taein@seoul.co.kr
2010-06-04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