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늦가을비/구본영 논설위원

[길섶에서] 늦가을비/구본영 논설위원

입력 2011-11-15 00:00
수정 2011-11-15 00:2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며칠 전 지난여름 산사태 이후 한동안 찾지 않았던 우면산에 갔다. 전날 살짝 내린 늦가을비에 낙엽이 수북이 쌓여 있었다. 팍팍한 현실을 핑계 삼아 계절의 변화에 둔감했던 스스로를 되돌아보았다.

그래서 오래 전 한 선배로부터 들은 말이 생각났다. “꽃 지고 나서야 꽃 피었었구나 아는 게 인생”이라고. 나이 지긋한 선배로부터 처음 이 말을 들었을 때는 그냥 그러려니 했다. 하지만 단풍이 드는가 했더니 벌써 잎사귀를 반 이상 떨군 나무들을 보고 새삼 가슴에 와 닿았다. 선배의 말마따나 누구나 크고 작은 일상사에 얽매여 ‘오고 가는 계절을 늘 한뼘씩 놓치기 일쑤’가 아닌가.

하지만 늦가을비에 얼마간 우울해지려는 맘을 추슬렀다. 아직도 남은 단풍잎들이 늦가을 햇살에 아름답게 반짝이는 것을 보면서 말이다. 문득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라는 법어가 떠올랐다. 그렇다. 마음 먹기에 따라 평범하고 하찮은 일상에서도 얼마든지 작은 생활의 기쁨은 찾을 수 있지 않겠는가.

구본영 논설위원 kby7@seoul.co.kr
2011-11-15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