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귀동냥/정기홍 논설위원

[길섶에서] 귀동냥/정기홍 논설위원

입력 2012-12-26 00:00
수정 2012-12-26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중년 남성들의 정담(情談)을 엿들었다. ‘스트레스를 받지 말자’는 대화다. 한쪽에서 “고지를 먼저 밟으면 먼저 떨어져.”라며 목청을 높였다. 고사성어 ‘마행처우역거’(馬行處牛亦去)를 인용하면서 “노력하면 충분히 이룰 수 있다.”는 주장도 폈다. 인생이란 게 평균을 내면 같아진다는 것이 그의 해석이다. 소중한 귀동냥을 한 셈이 됐다.

귀동냥은 어깨 너머로 다른 이의 경험을 배우는 것이다. 귀동냥 말고 눈동냥도 있고, 글동냥도 더러 쓰인다. 동냥은 동령(動鈴)에서 왔다. 불가에서 법요(法要)를 행할 때 놋쇠 방울을 흔드는데 이것을 동령이라고 한다. 동냥의 뜻은 중이 곡식을 얻고자 문전에서 방울을 흔들었다는 데서 비롯됐다.

귀동냥으로 배우는 것을 보기가 힘들어졌다. 젊은이의 손에는 하나같이 스마트폰이 들려 있고, 그 속의 활자에서 지식의 조각을 찾는다. “귀동냥으로 배웠다.”는 웃어른들의 말도 한 세대를 넘기고 있다. 변한 세태를 탓할까 하지만, 이들만의 소통 길도 있는 것을···.

정기홍 논설위원 hong@seoul.co.kr

2012-12-26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