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마른 장마/손성진 수석논설위원

[길섶에서] 마른 장마/손성진 수석논설위원

입력 2014-07-16 00:00
업데이트 2014-07-16 00: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장마가 실종됐단다. 사실 2009년부터 기상청은 장마 예보를 중단했다. 기상의 변화 탓이다. 길게는 한 달 가까이 비를 뿌려 모내기를 한 논에 물을 대주고 고추밭을 흠뻑 적셔주던 고마운 장마를 못 보는 해도 있게 된 것이다. 비가 쏟아져야 할 장마철의 가뭄에 농심은 타들어간다. 대신에 때를 가리지 않고 찾아올 난폭한 비를 걱정해야 한다.

하염없이 주룩주룩 내리는 비는 더는 단비가 아니다. 어릴 적 장마가 길어지면 어머니들에게 제일 큰 걱정거리는 빨래를 말릴 수 없는 것이었다. 벽에는 시커먼 곰팡이가 슬기 일쑤였다. 윤흥길의 소설 내용에서처럼 긴 장마는 음산한 분위기를 풍긴다. 삼 년 가뭄에는 살아도 석 달 장마에는 못 산다는 말이 그래서 나왔다.

때론 장맛비는 낭만적이다. 처마 끝에서 낙숫물이 떨어지는 풍경에선 운치가 느껴진다. 지붕을 뚫고 방안으로 똑똑 떨어지는 빗물 방울도 아름다움으로 승화됐다. 받쳐 놓은 양동이에 떨어지는 빗물 소리는 실로폰 음처럼 청아하게 그려졌다. 아무리 그래도 장마는 곱지만은 않은 존재인데 찾아오지 않으니 왠지 허전함을 감출 수 없다.

손성진 수석논설위원 sonsj@seoul.co.kr
2014-07-16 3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