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잡초/이경형 주필

[길섶에서] 잡초/이경형 주필

이경형 기자
입력 2017-07-20 20:48
수정 2017-07-20 22:1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장마가 한 차례 지나간 농로는 잡초 천지다. 농로 옆 낮은 밭고랑엔 잡초들이 허리춤까지 자랐다. 주말 농부로 또 1주일을 넘길 수 없어 잡초를 베기로 했다. 예초기 엔진의 시동 줄을 힘껏 당겼다. 등에 둘러메고 풀 깎기를 시작했다. 흐린 날씨지만 찜통더위라 땀방울이 등줄기를 타고 흘러내렸다.

잡초의 제왕 한삼덩굴과 외래종 단풍잎돼지풀이 서로 얽혀 다른 잡초들까지도 짓누르고 있다. 키 큰 망초와 비름, 소리쟁이에서부터 키 낮은 질경이, 토끼풀, 바랭이, 쇠뜨기들이 농로를 덮고 있다.

두 날의 칼날이 요란한 엔진 소리와 함께 잡초를 베어 나갔다. 칼날 사이에 풀 범벅이 끼면 예초기가 잘 나가지 않고 동력 전달 스프링이 열 받아 손잡이가 뜨거워진다. 잠시 엔진을 끄고 식힌 뒤, 풀떡을 제거했다. 한삼덩굴, 소리쟁이, 질경이는 한방에서 약초로도 쓰인다. 비름의 어린 잎은 나물로 무쳐 먹으면 맛있다. 하지만 약초나 나물이라도 제때 쓰임새가 없으면 제거된다. 인디언 사회에는 잡초라는 말이 없다고 한다. 작물과 잡초의 구분도 따지고 보면 사람 중심의 기준일 뿐이다.
2017-07-21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