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맨 인 블랙/박현갑 논설위원

[길섶에서] 맨 인 블랙/박현갑 논설위원

박현갑 기자
박현갑 기자
입력 2018-06-24 22:24
수정 2018-06-24 23:4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서울 시내 한 호텔. 청춘남녀 10여명이 복도 한켠에 마련된 좌석을 가득 채우고 있다. 복장은 똑같다. 하얀 와이셔츠나 블라우스에 검은색 정장 차림이다. 서류 꾸러미를 살펴보며 중얼거리는 이도 있다. 모 공공기관의 신규 채용 면접 대기자들이었다. 다가올 면접에 대한 긴장감으로 손엔 땀이 배어난다.

면접관들은 이날 새벽부터 아침잠을 설쳤다. “새벽 4시 30분쯤 문자가 왔더라구요. 오늘 진행하는 신규 채용 면접관으로 당첨됐으니 준비하고 나오라고.” 처음 면접관에 뽑힌 여성팀장 얘기다. 해당 기관장은 지방에 근무하는 직원 출근시간과 보안 유지를 위해 새벽잠을 설쳐 가며 면접관으로 봉사할 간부 직원을 무작위 추첨했다고 한다.

면접은 학교, 학점, 출신지, 부모 직업 등을 전혀 보지 않는 블라인드 방식이다. 구직자나 면접관 할 것 없이 긴장하지 않을 수 없다. “성격 좋은 상사와 일 잘하는 상사 중 누구랑 일하고 싶나?” “단순 반복 업무만 하라고 하면 할 수 있나?” 쉽지만 어려운 문제다. 행동이 앞서 실수하지만 그래서인지 더 인간적인 드라마 미생의 주인공 ‘장그래’가 떠오른다. 그런데 완생이 있을까?

박현갑 논설위원 eagleduo@seoul.co.kr

2018-06-25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