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년 12월 중국 광저우 시내는 불온한 기운이 감돌았다. 길거리에 삼삼오오 모인 사람들은 수군댔다. ‘무서운 역병이 돌고 있다’는 소문은 ‘카더라 통신’을 타고 중국 전역을 떠돌았다. 사망자가 속출했지만 당국과 언론은 침묵으로 일관한 채 사스(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발병 사실을 숨겼다. 원인을 알지 못한 사람들은 사스를 이상한 병이란 뜻의 괴질(怪疾)이라 불렀다. 사스는 다음해 2월 민족 대이동으로 불렸던 춘제(설날)를 통해 급격하게 전파됐다. 당국은 연중 가장 큰 정치행사인 3월 양회기간에도 끝까지 함구했다. 이 괴질이 사방팔방으로 퍼져가도 당국은 그저 쉬쉬했고 흉흉한 민심은 분노로 돌변했다.
중국 당국은 2003년 4월 10일에야 사스 창궐 사실을 발표했다. 전년 11월 광둥성 포산에서 첫 발병 이후 5개월 만이다. 당시 봉쇄당한 베이징은 참혹했다. 치료도 받지 못한 사망자가 쌓였다. 시장과 백화점은 물론 모든 골목식당까지 폐쇄됐다.
자욱한 스모그 연기 속에서 음산한 불신의 공기가 퍼져 나갔다. 간혹 거리에서 마주치는 시민들은 불안에 떠는 표정이 역력했다. 17년 전 베이징 특파원으로 경험했던 그 참상을 2020년 2월 대한민국 서울에서 다시 본다. 착잡한 심정이다.
oilman@seoul.co.kr
중국 당국은 2003년 4월 10일에야 사스 창궐 사실을 발표했다. 전년 11월 광둥성 포산에서 첫 발병 이후 5개월 만이다. 당시 봉쇄당한 베이징은 참혹했다. 치료도 받지 못한 사망자가 쌓였다. 시장과 백화점은 물론 모든 골목식당까지 폐쇄됐다.
자욱한 스모그 연기 속에서 음산한 불신의 공기가 퍼져 나갔다. 간혹 거리에서 마주치는 시민들은 불안에 떠는 표정이 역력했다. 17년 전 베이징 특파원으로 경험했던 그 참상을 2020년 2월 대한민국 서울에서 다시 본다. 착잡한 심정이다.
oilman@seoul.co.kr
2020-02-28 29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