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기심과 창의력은 동전의 양면인 듯하다. 궁금한 것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문제 해결 능력이 커지고 번득이는 아이디어가 나온다. 유대인들은 아이가 귀가하면 ‘오늘 뭘 배웠느냐’가 아닌 ‘오늘 뭘 질문했느냐’고 묻는단다. 영화계의 거장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은 어릴 때 왜소한 체격 때문에 놀림을 당하면서 외톨이가 됐지만 호기심 많은 성격이 독창성으로 연결된 사례다. 그의 어머니는 ‘남들처럼 잘하는 것을 바라지 않았고 호기심을 마음껏 표출하도록 키웠다’는 회고를 남겼다. 천재로 불렸던 아인슈타인 역시 어릴 적부터 남들이 무심히 지나친 밤하늘을 보며 의문을 갖고 그만의 독창적 이론을 정립했다. 어릴 적 암기를 강요하는 학교 분위기 때문에 신경쇠약에 걸렸다는 일화도 있을 정도다.
한국 유학생들이 미국이나 유럽 명문대에서 애를 먹는 것은 주입식에 익숙한 교육 풍토 때문이라고 한다. 일정 부분 수동식 암기 교육도 필요하지만 그것이 능력을 평가하는 전부는 아니다. 새로움에 대한 호기심(네오필리아)은 인류의 위대한 본능이다. 뜻도 모르고 달달 외우는 암기식 교육은 창조 에너지를 고갈시킬 수 있다. 호기심을 더 큰 호기심으로 키우는 교육이 싹을 틔우는 모습을 보고 싶다.
oilman@seoul.co.kr
한국 유학생들이 미국이나 유럽 명문대에서 애를 먹는 것은 주입식에 익숙한 교육 풍토 때문이라고 한다. 일정 부분 수동식 암기 교육도 필요하지만 그것이 능력을 평가하는 전부는 아니다. 새로움에 대한 호기심(네오필리아)은 인류의 위대한 본능이다. 뜻도 모르고 달달 외우는 암기식 교육은 창조 에너지를 고갈시킬 수 있다. 호기심을 더 큰 호기심으로 키우는 교육이 싹을 틔우는 모습을 보고 싶다.
oilman@seoul.co.kr
2020-07-16 29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