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물, 오르다/박홍환 논설위원

[길섶에서] 물, 오르다/박홍환 논설위원

박홍환 기자
입력 2021-03-17 20:26
수정 2021-03-18 02:3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일상에 찌든 소시민으로서 도심의 산책길을 걷다가 때때로 소소한 행복감에 빠져들곤 한다. 계절의 전조를 눈치채는 것도 그중 하나다. 아스팔트와 콘크리트로 뒤덮인 채 한 줌 흙도 밟아 보기 힘든 서울 도심에 청계천이라는 산책길이 있다는 것은 그야말로 축복이다. 인공적이긴 해도 그곳에는 대자연을 축소해 놓은 작은 생태계가 작동하고 있지 않은가.

햇볕이 잔뜩 내리쬐던 며칠 전 점심식사 후 청계천을 걷는데 겨우내 바짝 메말랐던 나뭇가지에 드디어 푸르스름한 기운이 감돌고 있음을 먼 시선으로 확인했다. 하루 뒤에는 산수유가 수줍게 꽃망울을 머금더니, 또 그다음날에는 능수버들 가지마다 움을 틔웠다. 졸졸졸 흐르는 청계천 물도 한껏 흥겨워진 것 같다.

소생의 계절인 봄, 온갖 나무들마다 뿌리에서부터 왕성한 활동을 재개하기 마련이다. 뿌리가 대지에서 힘 있게 수분을 빨아들여 자손 같은 가지가지 끝까지 나르면 마치 인체의 말초혈관이 확장하듯 메말랐던 가지는 비로소 푸르스름해지고, 마침내 잎사귀를 틔우고야 만다. 물이 올라야 마침내 소생하는 것이다. 공동체의 소생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코로나19로 한없이 움츠러들었던 공동체 구석구석을 소생시킬 수 있는 물이 올라오길 기다리는 요즘이다.

stinger@seoul.co.kr

2021-03-18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