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가짜 꿀과 사기/문소영 논설위원

[길섶에서] 가짜 꿀과 사기/문소영 논설위원

문소영 기자
입력 2021-12-15 20:08
수정 2021-12-16 01:3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길섶에서
길섶에서
나와 달리 성실한 동생은 어려서 늘 일기를 썼다. 그중엔 아빠가 가짜 꿀을 구매해 엄마한테 구박을 받았다는 내용도 있었다. 1980년대 초 대전, 세상 똑똑한 척하신 아빠와 어린 동생만 있고 눈 밝은 엄마가 집을 비운 어느 일요일. 촌부를 자처하는 늙수그레한 분이 대문을 두드리고는, “아들 집을 방문하러 시골서 왔는데 집을 못 찾는 바람에 돌아갈 차비가 없다”며 “아들 줄 꿀을 싸게 줄 테니 사 주면 고맙겠다”고 하는 것이다. 그러면 아빠는 시골에 아버지를 둔 맏아들답게 마음이 찡해서 그 꿀을 사 준다. 싸다고 해도 1980년대 꿀 가격은 꽤 비쌌다.

선의로 산 그 꿀은 두어 시간만 지나면 가짜란 게 드러난다. 꿀과 설탕물이 분리되기 때문이다. 동생은 그날 일기에 “아빠가 쉽게 속는 걸 처음 경험하면서 가짜 꿀에 큰돈 쓴 게 분하기도 하고 좀 한심하기도 했다”고 적었다고 한다.

가짜는 원래 진짜와 함께할 때 위력을 발휘해 사람을 속이는 사기로 발전한다. 가짜 참기름에도 참기름이 상당하다. 윤석열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가 아내 김건희씨에 대해 “아내 허위 경력을 부분적으로는 모르나 전면적 허위는 아니다”라고 했다는데 검찰 특수부에서 합법과 불법행위를 가리던 ‘선수’로서는 해명이 조금 엉성하다는 생각이 든 게 나 하나뿐인지.

2021-12-16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