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최서남단 가거도/박록삼 논설위원

[길섶에서] 최서남단 가거도/박록삼 논설위원

박록삼 기자
입력 2022-04-25 21:08
수정 2022-04-26 02:4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길섶에서
길섶에서
동쪽 끝 독도야 말할 것도 없고, 서쪽 끝 백령도, 남쪽 끝 마라도가 우리 영토의 해상 경계 섬이라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다. 하지만 가거도(可居島)는 익숙하지 않다. 서남쪽 끝 요지인데도 말이다. 서울(430㎞)보다 중국 상하이(400㎞)가 더 가까운 이곳은 독도경비대처럼 가거도경비대원 20명이 24시간 지켜야 하는 대한민국 섬이다.

등산객과 낚시꾼들이 주로 찾는 가거도는 목포에서 쾌속선을 타고 4시간 반을 가야 도착하는 절해고도다. 지난 주말 찾은 섬은 커다란 바위산에 가까웠다.

섬의 정상 독실산은 후박나무, 푸른가막살나무, 구실잣밤나무, 붉가시나무, 황칠나무 등으로 온통 울울했다. 거센 파도에 40년 넘게 방파제 공사를 할 정도로 엄혹한 환경이지만 으름난초, 금새우난 등 희귀 생태를 품은 원시림이 있다. 갈매기, 흑비둘기가 무심히 나는 서남해 바다 속 돌돔, 멸치 떼는 경계 없이 노닌다.

멀고 먼 가거도, 언제 다시 찾을 수 있을까.

2022-04-26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