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슬기로운 카드생활/이순녀 논설위원

[길섶에서] 슬기로운 카드생활/이순녀 논설위원

이순녀 기자
이순녀 기자
입력 2024-02-14 02:52
수정 2024-02-14 02:5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신용카드사에서 문자가 왔다. 사용 중인 카드의 유효 기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알림이었다. 통신비 할인 혜택이 커서 지난 5년간 아주 유용하게 활용해 온 카드인데 이제는 단종이 돼서 재발급을 받을 수 없다고 했다.

혜택이 좋아 금융 소비자들에게 인기 높은 ‘알짜 카드’가 단종되는 사례는 흔하다. 소비자 입장에선 불만이지만 수익성을 따지는 카드사로선 합리적인 경영 행위다. 지난해 고금리 장기화로 카드사 수익이 악화되면서 신규 발급을 중단한 카드 수가 신용카드 405종, 체크카드 53종으로 역대 최대였다고 한다.

아쉽지만 어쩌겠나. 대체할 만한 다른 카드를 찾을 수밖에. 그런데 이런저런 카드 상품을 들여다볼수록 골치만 아프다. 연회비와 전월 실적 조건까지는 대강 알겠으나 적립 조건이나 적립률이 복잡해서 이해하기 어렵다. 카드 대금은 빚인데 이참에 신용카드를 없애고 체크카드만 사용할까. 슬기로운 카드생활을 위한 고민이 깊어진다.
2024-02-14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