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엄마

[길섶에서] 엄마

임창용 기자
임창용 기자
입력 2024-08-22 00:17
수정 2024-08-22 00:1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얼마 전 모친상을 당한 지인의 얘기다. 90대 중반인 지인의 어머니는 돌아가시기 서너달 전까지는 대체로 건강하셨다. 그러다 지난봄 신장에 급성 염증이 생겼고, 병원에 두 차례 입원해 치료했지만 차도가 없었다. 의료진의 권유대로 집에서 두 달 정도 요양을 하시던 중 임종을 맞으셨다고 했다. 마지막 며칠간은 말씀도 못 할 정도로 상태가 안 좋았단다. 한데 임종 하루 전 마지막으로 “엄마”라고, 곁에 있던 지인의 여동생이 분명히 알아들을 수 있을 정도로 발음하셨다는 것이다.

지인이나 그의 여동생은 외할머니를 어머니가 생전에 엄마라고 부르는 걸 본 적이 없다고 했다. 하긴 그 정도 연세라면 아주 어릴 적 말고는 엄마라고 부르기가 쉽지 않았을 법하다. 얘기를 들으면서 ‘엄마’란 단어가 인생에서 가장 가깝고 애틋한 호칭이란 생각이 들었다. 어릴 적 엄마는 아이에게 전부나 마찬가지이니 지인의 어머니는 마지막 순간에 가장 가까운 엄마를 불렀던 게 아닐까. 기왕이면 마지막 가는 길이 고통스러워서가 아니라 이미 천국에 가 계신 지인 외할머니의 손짓에 화답한 “엄마”였기를.
2024-08-22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