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겨울의 유산

[길섶에서] 겨울의 유산

황수정 기자
입력 2025-01-30 23:56
수정 2025-01-31 00:2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뿌리가 발그레한 시금치를 다듬으면서 우물쭈물. 흙뿌리를 잘라 버리지 못해 칼끝으로 살살 달랜다. 얼었다 녹았다 단맛 든 뿌리, 겨울 시금치는 버릴 게 하나 없지. 할머니와 어머니가 있던 옛 부엌에서 나는 그렇게 배웠다. 귀동냥으로 배우는 줄도 모르고 배웠다.

베란다에서 귤 껍질이 잘 말랐다. 꼭 여민 덧창으로 겨울볕은 장차게 넘어와 채반 위에 껍질 마른 소리가 카랑카랑 구른다. 이 흐뭇함을 돈을 주고 살까. 아무나 붙들고 자랑하고 싶어진다.

겨울밤 우리 집에서는 누구라도 잔기침을 하면 귤피차가 끓었다. 마루 끝에 깔린 하얀 광목천 위로 노란 귤껍질이 나붓이 누웠고는 했다. 위풍당당 눈이 부셨지. 귤 껍질 한 움큼 삼킨 주전자가 끓어오르면 훨훨 풀려난 훈김이 마루의 찬바람을 녹여서 달랬고.

먹을 것은 지천인데, 눈부신 이야기들은 어디로 갔을까. 주전자가 숨이 넘어가도록 귤피차를 오래 끓이는 밤. 배우는 줄도 모르고 배웠던 향기로운 겨울의 유산. 버선발로 마중 나가고 싶은 기억들이 온 마루에 향기로 번진다.

주전자 뚜껑이 쉬지 않고 딸각딸각, 목이 잠기는 저 소리.
2025-01-31 3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