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2/19/SSC_20250219002153_O2.jpg.webp)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2/19/SSC_20250219002153_O2.jpg.webp)
몇 년 전 지인에게서 대학입시에 떨어진 아들 손을 잡고 나들이에 나섰다가 경기도 용인의 한 기숙학원 앞에 차를 세운 뒤 아들을 밀어 넣고 왔다는 부모 얘기를 들은 적이 있다. 집을 떠나 기숙사에서 숙식을 해결하며 공부에만 매달리는 재수기숙학원은 학생들 사이에서 ‘창살 없는 감옥’으로 불리기도 한다. 그럼에도 집중된 학습 효과로 의과대에 몇 명을 합격시켰다는 등 ‘실적’ 입소문이 나 그 인기는 가라앉지 않고 있다.
2025학년도 대입 정시모집 합격자 등록이 마무리되고 ‘N수생 시장’이 본격 가동되면서 기숙학원이 활기를 띠고 있다. 특히 서울 강남의 한 유명 재수학원이 이달 말 용인에 열기로 한 대형 재수기숙학원이 화제가 되고 있다. 정부로부터 ‘사교육 카르텔’로 지목돼 고강도 조사를 받고도 수능 만점자를 내 유명해진 그 학원이다. 기숙사비와 급식비를 포함한 한 달 학원비가 최소 400만원. 여기에 교재비와 모의고사비 등을 합치면 연간 6000만원이 든다고 한다. 재수학원 1년 다니는 비용이 의대 6년간 등록금과 맞먹는 수준이다. 1500명 정원인데, 개강 전부터 대기자가 수두룩한 모양이다.
의대 선호 현상이 몰고 온 ‘N수생 열풍’이 재수기숙학원 호황으로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 주요 8개 대학 정시모집 신입생의 67%가 N수생이었는데, 의대의 경우 그 비중이 무려 80%나 됐다. 지난해 의대 증원 이후 더 거세진 상위권 대학입시 열풍에 기숙학원 시장은 후끈 달아오를 태세다. 큰 비용을 투자하더라도 자녀를 좋은 대학에 보내 의사를 만들면 ‘두고두고 남는 장사’라는 기대치 때문이다.
N수생 증가로 인한 사회적 비용을 줄이기 위해서라도 소득양극화를 해소할 수 있는 사회경제구조 혁신이 시급하다. 정부의 일방적 추진 방식에 문제가 없지 않았지만 의대 증원은 불가피하다는 생각이 새삼 굳어진다. 소득구조의 합리적 조정을 위해서도 포기할 수 없는 개혁과제라는 사실이 분명해진다.
박성원 논설위원
2025-02-19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