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규장각 도서 반환주도 佛 마틴 프로스트 교수
프랑스의 외규장각 도서 반환 합의와 관련, 프랑스 내의 반대 목소리가 여전하다. 지난 18일 신문에 반대성명을 발표했던 파리국립도서관(BNF) 사서들에 이어 박물관 큐레이터 170여명이 서명 운동에 나섰다. 좌파 성향 일간 라 리베라시옹 등 일부 언론은 국민적 반발을 샀던 지난 1993년 반환 협의와 비교하며 여론을 자극하고 있다.
마틴 프로스트 파리7대학 한국어학과장 겸 콜레주 드 프랑스 한국연구소장
마틴 프로스트(59) 파리7대학 한국어학과장 겸 콜레주 드 프랑스 한국연구소장은 24일 본지와의 전화인터뷰에서 “BNF 사서들의 반발은 예견된 순서”라면서 “한국 측은 무조건적으로 서두르기보다는 냉정하게 사태를 지켜보고 절차를 밟아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주한 프랑스대사관 문정관을 지낸 프로스트 교수는 20여전 전부터 외규장각 도서 반환 운동을 주도했다. 지난 4월에는 프랑스 지식인을 규합, ‘외규장각 의궤 반환 지지협회’를 구성했다. 프로스트 교수는 프랑스 정부가 최근 임대 갱신 형태로 사실상 외규장각 도서를 반환하기로 결정한 사실에 대해 “보람을 느낀다.”고 밝혔다. 또 “17년이나 지났지만 약속이 지켜지게 된 것은 프랑스 국민을 위해서도 참 다행스러운 일”이라면서 “프랑스 내부에서도 무조건적인 반환 반대에 대한 자성의 목소리가 높았다.”고 말했다.
프로스트 교수는 그러나 “실제 반환이 이뤄지기까지는 아직 갈 길이 멀다.”며 조심스러운 입장을 보였다. 실질적인 관리 책임을 맡고 있는 BNF 사서들의 반발 때문이다. 이어 “BNF 사서들이 도서관과 박물관을 중심으로 이미 보도된 것과는 달리 200명에 가까운 큐레이터의 지지 서명을 받았다.”면서 “반발은 당연히 예견했던 일이지만 만약 여론을 자극할 경우 보수적인 프랑스인들의 정서와 결합해 반환 절차가 크게 지연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반환 결정 이후 BNF 관계자 상당수가 ‘절차를 무시하고 국부를 빼돌린다는 점에서 17년 전과 똑같은 상황’이라며 화를 내고 있다는 것이다. 프로스트 교수는 분명히 17년 전과는 상황이 많이 변했고, 사서들의 거부감은 고정관념이 시대의 변화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해석했다.
프로스트 교수는 “BNF 사서들의 반발을 주도하는 인물들은 17년 전 ‘대통령에게 맞서 소신을 지켰다’며 국민적 영웅이 됐던 이들로 이미 은퇴했거나 은퇴를 앞둔 사람들”이라면서 “직업에 대한 지나칠 정도의 자만심과 프랑스 문화 제일주의로 무장한 이들의 시대는 분명히 저물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오히려 젊은 사서들을 중심으로 이번 기회에 각국에서 빗발치는 문화재 반환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세워 대처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고 전했다.
프로스트 교수는 “한국 정부가 무조건 빠른 반환만 주장한다면 반발 목소리가 더 힘을 얻을 수 있다.”면서 “5년마다 재임대라는 조건을 영구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라도 실무 협상 과정에서 냉철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박건형기자 kitsch@seoul.co.kr
2010-11-25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