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완 직장인 55% 反韓감정 가져”

“타이완 직장인 55% 反韓감정 가져”

입력 2010-12-01 00:00
수정 2010-12-01 10:3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대만 직장인 55.47%가 현재 반한(反韓)감정을 가지고 있으며,44.49%는 반한 감정이 없는 것으로 1일 발표된 여론조사에서 드러났다.

 대만 남자 직장인중 무려 68.7%가 반한 감정을 가지고 있으며 여자는 44.6%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만 ‘1111 인력은행’이,아시안게임 출전 양수쥔(楊淑君) 태권도 선수가 지난달 17일 실격패당해 반한 감정이 생긴 후 11월말까지 직장인을 상대로 온라인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드러난 것이다.

 반한 감정을 가지게 된 주요 이유로는 △44.01%가 한국 심판들이 지금까지 여러 종목의 국제 스포츠 대회들에서 이미 여러차례 불공정한 판정을 내렸기때문이라고 답했고 △34.07%는 원래 한국인을 좋아하지 않아서 △17.03%는 한국 스포츠 관계자들의 대처 미숙을 들었다.

 반한 감정을 가지지 않는 이유로는 △77.8%가 태권도 사건에 일부 한국인만 관여했기 때문 △7.07%는 대만 선수와 감독진의 사전 대비가 충분하지 못해서 △5.3%는 자신과 직접 관련이 없어서라고 말했다 .

 직장인중 51.62%는 ”애국심은 소중하지만 일부 반한 행위가 이성을 상실했다“고 답했고 36.57%는 ”대만인의 일치단결은 긍정적으로 보지만 반한을 적극 주동하지는 않겠다“고 말했다.

 반한을 어떤 방식으로 하겠느냐고 물은 결과 복수 답변이 가능한 상황에서 △41.73%는 인터넷을 통해 정부가 국제소송을 제기하도록 적극 지지 △37.45%는 한국 상품 불매 △29.57%가 한국 드라마와 음악 거부 △26.42%는 한국 여행 안 가기 △19.69%는 한국 음식 안 먹기를 꼽았다.

 한국 친구가 있는 직장인들은 반한이 영향이 있느냐는 질문에 80.71%가 친구와 자신이 서로 이성적이어서 영향이 없다고 답했고,한국 기업과 관련이 있는 직장인중 93.33%는 반한으로 인해 영업이 영향을 받지 않았다고 말했다.

 1111 인력은행 공보 책임자 허치성(何啓聖)은 ”한국학교에 달걀을 던지고 태극기를 불태우는 행위들은 대만의 품격을 상실하게 만든다“면서 ”주최측이 이번 사건을 신속하게 조사,확인하도록 재촉하는 것이 보복행위보다 더 효과적,직접적으로 억울함을 해결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타이베이=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