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진타오가 원하는 것

후진타오가 원하는 것

입력 2011-01-17 00:00
수정 2011-01-17 00:2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美제품 수입·투자 확대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은 이번 미국 국빈방문에 상당한 공을 들여왔다. 지난 19년 동안 신년 첫 외교활동을 아프리카에서 시작한 중국 외교부장들의 ‘전통’을 깨고 양제츠 부장을 미국에 보내 의제와 일정을 조율토록 한 것에서도 이번 방미에 대한 후 주석의 의지와 기대를 읽을 수 있다.

올해는 중국의 새로운 30년을 좌우할 12·5규획(12번째 국가경제 및 사회발전 5개년 계획)의 첫 해이다. 앞으로 5년간 국민들의 소득을 배로 늘려 후 주석이 집권 때 내세웠던 샤오캉(小康·먹고살 만한) 사회 완성의 기반을 만든다는 목표다. 크게 보면 12·5규획은 중국의 ‘대국굴기’ 계획과도 맞물려 있다. 후 주석은 경제발전에 ‘올인’하면서 국력을 키워야 한다는 점을 여러 차례 강조해 왔다.

그런 점에서 미국과의 대결을 강조하면서 힘을 분산하는 것은 중국이 가장 피해야 하는 상황이다. 후 주석이 이번 방미를 ‘중국 위협론’ 불식의 계기로 삼으려는 것도 그런 이유에서다.

국가 이미지 광고를 미국 내 TV와 뉴욕의 타임스스퀘어 대형전광판에 내보내고, 미국 내에서 반중 감정이 가장 강한 시카고를 방문하는 것 등이 그런 전략의 일환이다.

후 주석 등 중국 지도자들은 미국이 중국의 ‘핵심이익’만 건드리지 않으면 양국관계는 건강하게 발전할 수 있다고 주장해 왔다. 이번 방문에서도 후 주석은 용인할 수 있는 수준에서 위안화 절상과 미국제품 수입 확대 등 경제 현안을 양보하면서 타이완 문제 등에 대한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확답을 얻으려 할 것으로 보인다. 후 주석은 지난 11일 로버트 게이츠 미 국방장관을 만났을 때도 양국 관계 발전을 위해서는 ‘존중’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5년 전인 2006년 4월 국빈방문 요청을 거부당한 채 미국을 공식 방문했을 때 후 주석은 환영행사에서 중국 국가 대신 타이완 국가를 듣는 수모를 당하기도 했다. 그때 후 주석은 당나라 시인 두보의 시를 읊으며 훗날을 도모했다. ‘언젠가는 정상에 올라 발 아래 뭇 산을 내려다보리라’ 결국 5년 만에 최고의 대접을 받으며 미국을 국빈방문하는 후 주석이 원하는 성과를 거둘지 주목된다.

베이징 박홍환특파원 stinger@seoul.co.kr
2011-01-17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