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년 끄떡없다” vs “장기공백 땐 충격”
시가 총액 기준 세계 2위의 기업인 애플의 최고 경영자(CEO) 스티브 잡스가 또다시 병가를 냈다. 2003년 췌장암 진단 이후 세 번째다. 2009년 간 이식 당시 상황에 비춰볼 때 단기적인 영향은 크지 않겠지만 공백이 장기화될 경우 경영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1/01/19/SSI_20110119025217.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1/01/19/SSI_20110119025217.jpg)
잡스는 지난 2003년 췌장암 진단을 받았다. 종양을 제거하면 생명에는 지장이 없지만 다른 기관에 전이되기 쉽다. 흔히 간에서 재발할 확률이 높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잡스가 2009년 간 이식 원인이 암 전이 때문이라고 말한 적은 없다.
가능성은 크게 세 가지다. 또 다른 기관에 암이 전이됐을 수도 있다. 혹은 신체 거부 반응 등 간 이식에 따른 부작용도 예상해 볼 수 있다. 신체 거부 반응은 보통 이식 후 6개월 내에 나타나지만 수년 뒤에 겪을 수도 있다. 잡스의 한 지인은 잡스가 암 수술과 간 이식 이후 체중을 유지하기 어렵다고 밝혔음을 전했다. 물론 체중 감소는 암 재발이나 간 이식 외에 다른 질병이 원인일 수 있다.
잡스는 CEO직을 유지하면서 중요한 결정에는 계속 참여하되 일상적인 운영은 앞서 두번의 휴직 때와 마찬가지로 최고운영책임자(COO)인 팀 쿡에게 맡겼다. 2009년 쿡이 잡스 대신 운영을 맡았던 6개월 동안 애플의 주가가 70% 상승했을 정도로 그의 회사 ‘운영’은 인정을 받은 상태다.
더구나 이미 2011년 한해 계획이 정해져 있어 단기적으로는 별 영향이 없을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견해다. ‘포레스터 리서치’의 애널리스트 찰스 골빈은 “애플이 충격을 받으려면 3~5년 정도 걸릴 것”으로 내다봤다.
문제는 장기화될 때다. 일단 애플의 위상은 2년 전과 다르다. 당시 주가는 주당 85달러, 자산가치는 500억 달러였다. 하지만 지난 14일 애플 주가는 사상 최고치인 348.48달러를 기록했고, 자산 가치도 2940억 달러에 이르렀다. 시가 총액을 기준으로 하면 엑손모빌 다음이다. 이런 거대 기업을 CEO 쿡이 계속 이끌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물음표가 붙는다. 경영 능력은 검증됐지만 잡스와 같은 ‘선견지명’을 갖고 비전을 제시할 수 있는 인물이냐는 것이다.
나길회기자 kkirina@seoul.co.kr
2011-01-19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