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고의 지능을 가진 슈퍼컴퓨터와 ‘인간 퀴즈 강자’가 1라운드 대결에서 승부를 가리지 못했다.
미국 ABC 방송의 인기 퀴즈쇼 ‘제퍼디(Jeopardy)’의 퀴즈 영웅 켄 제닝스와 브래드 루터가 14일(이하 현지시각) 요크타운 하이츠에서 열린 미국 IBM사의 슈퍼컴퓨터 왓슨과의 제퍼디 대결 1라운드에서 막상막하의 접전을 펼쳤다고 AP가 보도했다.
이 퀴즈쇼에서 325만 달러의 상금을 얻은 상금왕 루터는 1라운드에서 5천 달러를 획득,왓슨과 비겼지만 최장 연승(74연승) 기록 보유자인 제닝스는 2천 달러에 그쳤다.
컴퓨터와 인간의 대결로 관심을 모은 이번 대결은 15일,16일 두 차례 더 열리고 승자는 100만 달러의 상금을 받는다.
이번 대결은 승패는 물론 인간 언어를 이해하는 컴퓨터가 갖는 사회적.경제적 의미로도 관심을 모으고 있다고 뉴욕타임스(NYT) 인터넷판은 이날 보도했다.
NYT는 왓슨은 인간 언어를 처리할 수 있는 기술의 집합체로 컴퓨터 시스템의 한계를 간단한 명령에 대한 반응에 머무르지 않고 전문분야의 특수 용어나 언어의 미묘한 차이,심지어 수수께끼까지 이해하는 데까지 확대했다고 평가했다.
예를 들면 패리스 힐튼(미국 영화배우 겸 가수)을 얘기했을 때 프랑스에 있는 호텔을 예약하려는 질문인지,‘할리우드의 말썽꾼’ 여배우 힐튼의 근황을 묻는지를 구분할 수 있다는 의미다.
신문은 왓슨이 인간과의 대결에서 승리한다면 지금까지 기술 변화의 접근이 불가능했던 경제 분야에도 자동화 물결을 가져 올 수 있다며 사회적.경제적 변화가 예고된다고 분석했다.
IBM은 왓슨을 기업,교육,의료 등 분야에서 질문-답변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도록 판매할 계획이고 왓슨의 기술적 영향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지만 전문가과 수십만명의 고수익 일자리를 대체할 수 있다고 신문은 전망했다.
전화를 통한 상담이나 상업적 거래에 종사하는 직종은 당장 위험할 수 있다며 현금자동입출금기(ATM)가 창구에 앉아 있던 은행원들을 대체한 속도를 보면 알 수 있다고 신문은 덧붙였다.
MIT대 미디어랩의 패티 마이(컴퓨터 과학) 교수는 “도구와 상품,기술의 디자이너로서 이 문제에 대해 많을 것을 생각해봐야 한다”며 윤리적 문제뿐만 아니라 기술이 인간에게 갖는 의미를 다시 고려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신문은 또 왓슨 같은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의 빠른 확산으로 인간의 능력을 확장하는 지능증강(I.A.: Intelligence Augmentation)도 주목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신문은 구글과 같은 인터넷 검색 엔진,다양한 인간의 능력을 활용할 수 있는 인터넷,개인용 컴퓨터(PC),스마트폰 등을 지능증강의 예로 제시하면서 인공지능과 지능증강의 진보는 엔지니어들과 컴퓨터 과학자들이 기술을 어떻게 사용할 것 인지에 대한 명확한 선택을 강요한다고 분석했다.
‘당신은 기계가 아니다(You are not a Gadget: A Manifesto)’의 저자인 컴퓨터 과학자 재런 레이니어는 “단순히 일자리냐,더 나은 일자리냐에 대한 엔지니어들과 사회의 계약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기계를 인간의 능력을 확장하도록 사용할지,인간 능력의 대체 수단으로 사용할지에 대한 다양한 문제를 유발하고 있다고 신문은 전했다.
연합뉴스
미국 ABC 방송의 인기 퀴즈쇼 ‘제퍼디(Jeopardy)’의 퀴즈 영웅 켄 제닝스와 브래드 루터가 14일(이하 현지시각) 요크타운 하이츠에서 열린 미국 IBM사의 슈퍼컴퓨터 왓슨과의 제퍼디 대결 1라운드에서 막상막하의 접전을 펼쳤다고 AP가 보도했다.
이 퀴즈쇼에서 325만 달러의 상금을 얻은 상금왕 루터는 1라운드에서 5천 달러를 획득,왓슨과 비겼지만 최장 연승(74연승) 기록 보유자인 제닝스는 2천 달러에 그쳤다.
컴퓨터와 인간의 대결로 관심을 모은 이번 대결은 15일,16일 두 차례 더 열리고 승자는 100만 달러의 상금을 받는다.
이번 대결은 승패는 물론 인간 언어를 이해하는 컴퓨터가 갖는 사회적.경제적 의미로도 관심을 모으고 있다고 뉴욕타임스(NYT) 인터넷판은 이날 보도했다.
NYT는 왓슨은 인간 언어를 처리할 수 있는 기술의 집합체로 컴퓨터 시스템의 한계를 간단한 명령에 대한 반응에 머무르지 않고 전문분야의 특수 용어나 언어의 미묘한 차이,심지어 수수께끼까지 이해하는 데까지 확대했다고 평가했다.
예를 들면 패리스 힐튼(미국 영화배우 겸 가수)을 얘기했을 때 프랑스에 있는 호텔을 예약하려는 질문인지,‘할리우드의 말썽꾼’ 여배우 힐튼의 근황을 묻는지를 구분할 수 있다는 의미다.
신문은 왓슨이 인간과의 대결에서 승리한다면 지금까지 기술 변화의 접근이 불가능했던 경제 분야에도 자동화 물결을 가져 올 수 있다며 사회적.경제적 변화가 예고된다고 분석했다.
IBM은 왓슨을 기업,교육,의료 등 분야에서 질문-답변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도록 판매할 계획이고 왓슨의 기술적 영향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지만 전문가과 수십만명의 고수익 일자리를 대체할 수 있다고 신문은 전망했다.
전화를 통한 상담이나 상업적 거래에 종사하는 직종은 당장 위험할 수 있다며 현금자동입출금기(ATM)가 창구에 앉아 있던 은행원들을 대체한 속도를 보면 알 수 있다고 신문은 덧붙였다.
MIT대 미디어랩의 패티 마이(컴퓨터 과학) 교수는 “도구와 상품,기술의 디자이너로서 이 문제에 대해 많을 것을 생각해봐야 한다”며 윤리적 문제뿐만 아니라 기술이 인간에게 갖는 의미를 다시 고려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신문은 또 왓슨 같은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의 빠른 확산으로 인간의 능력을 확장하는 지능증강(I.A.: Intelligence Augmentation)도 주목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신문은 구글과 같은 인터넷 검색 엔진,다양한 인간의 능력을 활용할 수 있는 인터넷,개인용 컴퓨터(PC),스마트폰 등을 지능증강의 예로 제시하면서 인공지능과 지능증강의 진보는 엔지니어들과 컴퓨터 과학자들이 기술을 어떻게 사용할 것 인지에 대한 명확한 선택을 강요한다고 분석했다.
‘당신은 기계가 아니다(You are not a Gadget: A Manifesto)’의 저자인 컴퓨터 과학자 재런 레이니어는 “단순히 일자리냐,더 나은 일자리냐에 대한 엔지니어들과 사회의 계약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기계를 인간의 능력을 확장하도록 사용할지,인간 능력의 대체 수단으로 사용할지에 대한 다양한 문제를 유발하고 있다고 신문은 전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