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내 웹사이트에 노출된 한국민의 개인정보를 삭제하기위해 한국 정부가 조치에 나섰다고 주중 한국대사관 측이 7일 밝혔다.
대사관측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주민등록번호를 포함한 개인 신상 관련 정보가 중국에서 운영되는 웹 사이트들에 노출되고, 이로인한 피해가 발생해 해당 개인정보에 대한 삭제 노력을 진행중이라고 전했다.
이런 작업은 방송통신위원회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의뢰해 진행되고 있으며, 인터넷진흥원은 중국 인터넷협의회와 협의해 삭제 작업을 벌이고 있다고 대사관측은 설명했다.
대사관측은 한국인터넷진흥원이 바이두와 구글 등의 중국내 주요 포털사이트에서 주민등록번호와 운전면허 앞자리 번호 등으로 우리 국민의 개인정보 노출 상황을 심도있게 검색하고 중국내 위탁사업자에게 해당 웹사이트를 직접 방문토록 해 삭제를 요청하는 방식으로 작업이 이뤄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우리 정부의 이런 작업은 최근 청와대와 국가정보원 등의 국가기관과 금융기관, 주요 인터넷 기업 웹사이트를 겨냥한 분산서비스거부(디도스:DDos) 공격 행위가 잇따르는 가운데 나와 주목된다.
중국에서는 도용한 우리 국민의 주민등록과 운전면허 번호 등을 중국에 소개되지 않은 한국 게임 사이트에 들어가는 용도로 쓰거나 중국내 인터넷 쇼핑몰, 텔레마케팅 등의 통신판매 광고를 위해 우리 국민의 개인정보를 사들이는 사례가 빈번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이처럼 중국에서 무분별하게 노출된 한국민의 개인정보가 통신판매 사기 등의 범죄로 이용되는 사례가 종종 발생하고 있어 경각심이 요구된다.
연합뉴스
대사관측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주민등록번호를 포함한 개인 신상 관련 정보가 중국에서 운영되는 웹 사이트들에 노출되고, 이로인한 피해가 발생해 해당 개인정보에 대한 삭제 노력을 진행중이라고 전했다.
이런 작업은 방송통신위원회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의뢰해 진행되고 있으며, 인터넷진흥원은 중국 인터넷협의회와 협의해 삭제 작업을 벌이고 있다고 대사관측은 설명했다.
대사관측은 한국인터넷진흥원이 바이두와 구글 등의 중국내 주요 포털사이트에서 주민등록번호와 운전면허 앞자리 번호 등으로 우리 국민의 개인정보 노출 상황을 심도있게 검색하고 중국내 위탁사업자에게 해당 웹사이트를 직접 방문토록 해 삭제를 요청하는 방식으로 작업이 이뤄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우리 정부의 이런 작업은 최근 청와대와 국가정보원 등의 국가기관과 금융기관, 주요 인터넷 기업 웹사이트를 겨냥한 분산서비스거부(디도스:DDos) 공격 행위가 잇따르는 가운데 나와 주목된다.
중국에서는 도용한 우리 국민의 주민등록과 운전면허 번호 등을 중국에 소개되지 않은 한국 게임 사이트에 들어가는 용도로 쓰거나 중국내 인터넷 쇼핑몰, 텔레마케팅 등의 통신판매 광고를 위해 우리 국민의 개인정보를 사들이는 사례가 빈번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이처럼 중국에서 무분별하게 노출된 한국민의 개인정보가 통신판매 사기 등의 범죄로 이용되는 사례가 종종 발생하고 있어 경각심이 요구된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