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에서 50㎞ 떨어진 고리야마시의 하수처리 시설 오니(汚泥·하수 진흙)에서 고농도의 세슘이 검출됐다.
1일 NHK방송에 따르면 후쿠시마현은 고리야마시에 있는 하수처리시설에서 지난달 30일 오니의 방사성 물질을 조사한 결과 1㎏당 2만 6400베크렐(㏃)의 세슘이, 오니를 태워 굳힌 ‘용융슬래그’에서는 1㎏당 33만 4000㏃의 세슘이 검출됐다고 발표했다. 용융슬래그에서 검출된 세슘은 원전 사고 전보다 1300배 높으며, 하수에서 고농도 방사성 물질이 검출된 것은 사고 이후 처음이다.
후쿠시마현은 지면의 방사성 물질이 비에 쓸려 하수로 흘러들어 처리 과정에서 농축되면서 오니의 세슘 농도가 높아진 것으로 보고 있다.
후쿠시마현은 이 오니가 현 밖으로 반출돼 시멘트 재료로 이용되고 있어, 현외 반출을 정지하는 한편 어디에, 어떤 용도로 사용됐는지 추적 조사하고 있다.
도쿄 이종락특파원jrlee@seoul.co.kr
1일 NHK방송에 따르면 후쿠시마현은 고리야마시에 있는 하수처리시설에서 지난달 30일 오니의 방사성 물질을 조사한 결과 1㎏당 2만 6400베크렐(㏃)의 세슘이, 오니를 태워 굳힌 ‘용융슬래그’에서는 1㎏당 33만 4000㏃의 세슘이 검출됐다고 발표했다. 용융슬래그에서 검출된 세슘은 원전 사고 전보다 1300배 높으며, 하수에서 고농도 방사성 물질이 검출된 것은 사고 이후 처음이다.
후쿠시마현은 지면의 방사성 물질이 비에 쓸려 하수로 흘러들어 처리 과정에서 농축되면서 오니의 세슘 농도가 높아진 것으로 보고 있다.
후쿠시마현은 이 오니가 현 밖으로 반출돼 시멘트 재료로 이용되고 있어, 현외 반출을 정지하는 한편 어디에, 어떤 용도로 사용됐는지 추적 조사하고 있다.
도쿄 이종락특파원jrlee@seoul.co.kr
2011-05-02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