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seoul.co.kr/img/upload/2011/07/01/SSI_20110701012955.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1/07/01/SSI_20110701012955.jpg)
이번 재판은 지난 27일부터 30일까지 수도 프놈펜 특별전범재판소(ECCC) 법정에서 진행됐다. 전범 혐의로 출두한 인물은 크메르루주 정권의 2인자로 불린 누온 체아(84) 전 공산당 부서기장과 렝 사리(85) 전 외무장관, 키우 삼판(80) 전 국가주석, 렝 사리의 부인인 렝 티리트(79) 전 내무장관 등 4명이다.
이들은 1975년부터 4년간 집권했던 공산주의 정당 크메르루주의 핵심 인물로, 노동자가 중심이 되는 사회를 만들겠다며 ‘킬링필드’로 유명한 대학살을 감행했다. 당시 지도자였던 폴 포트는 1998년 사망했다. AP통신은 이번 재판에 대해 “독일 나치 전범들을 단죄한 뉘른베르크 재판 이후 가장 주목받는 재판”이라고 보도했다.
하지만 이 ‘세기적인’ 재판은 제대로 진행되지 않았다. 누온 체아는 법정에서 “기분이 나빠 재판을 받을 수 없다.”며 법정을 나갔고, 렝 티리트는 “나이가 많아 불편하니 재판을 빨리 끝내라.”고 요구하기도 했다. 심지어 조는 모습도 보였다. 렝 사리는 “1996년 잔당들을 이끌고 정부에 투항하는 조건으로 국왕으로부터 특별사면을 받았다.”면서 “이는 일사부재리 원칙에 위반된다.”고 주장했다. 결국 심리는 큰 소득 없이 끝나버렸다.
단죄까지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전범들이 이렇게 비협조적이고, 무죄를 주장하고 있어 서로 간의 책임 공방도 예상되는 까닭이다. BBC 방송은 “재판다운 재판은 빨라야 8~9월 이후에나 가능할 것”이라고 전했다. 더욱이 이들의 나이가 80대 고령임을 감안할 때, 재판이 이렇게 늘어지게 되면 최종 판결이 나오기 전에 사망할 가능성도 전혀 배제할 수 없다.
훈 센 캄보디아 총리도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지 않고 있다. 그 역시 한 때 크메르루주 당원이었던 데다, 이번 재판이 국론을 분열시킬 수 있다고 여러 차례 주장해 왔기 때문이다. 유엔 등 국제사회가 나서 캄보디아 정부를 설득하지 않았다면 이번 재판도 성사되지 못했을 것이란 지적도 나온다. BBC는 현지 인권단체 관계자들의 말을 인용, “크메르루주 정권에 몸담았던 훈 센 총리가 재판이 이뤄지지 않도록 압력을 가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경원기자 leekw@seoul.co.kr
2011-07-01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