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군 어떻게 대처하나…부적응자 교정보다 퇴출

미군 어떻게 대처하나…부적응자 교정보다 퇴출

입력 2011-07-09 00:00
업데이트 2011-07-09 0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992년 히트했던 영화 어퓨굿맨(A Few Good Man)은 쿠바 관타나모에 있는 미 해병대 기지에서 일어난 한 병사의 죽음을 다뤘다. 이 해병을 죽음으로 몰고 간 동료들의 가혹행위가 부대 사령관의 이른바 ‘코드 레드’(Code Red) 지시에 의한 것인지를 규명해 가는 과정을 그렸다. ‘코드 레드’란 부적응 해병을 교정하기 위해 내려지는 가혹행위 지시로 미 해병대의 불문율 같은 것이다.

강화도 해병 총기난사 사건으로 한국 해병대 안에 ‘기수 열외’라는 악습이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한국판 ‘코드 레드’가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하지만 미 해병대에서는 자살하는 해병은 있어도 총기난사 사건은 잘 일어나지 않는다. 가혹행위를 하더라도 ‘왕따’를 시키는 문화는 아니기 때문이다. 코드 레드가 비뚤어진 전우애이기는 하지만 그래도 바탕에는 전우라는 인식이 깔려 있다.

반면 기수 열외는 육체적 가혹행위보다 더 잔인한 정신적 고문이다. ‘관심 사병’을 그림자 취급한다거나 후임병이 선임병에게 고참 대접을 하지 않는 것은 형제애는커녕 비뚤어진 전우애로도 볼 수 없다.

총기 난사와 같은 불상사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미 해병대의 자살 예방 프로그램을 참고할 만하다. 미 해병대에서는 2009년 역대 최고치인 총 52명의 자살사건이 벌어지자 적극적인 자살 예방 프로그램을 도입했다. 그 덕에 지난해에는 자살자가 30% 줄었다. 부대원 중 미세하게라도 행동변화를 보이는 사병이 발견되면 곧바로 정신과 치료를 받도록 조치하고 있다. 미군은 아프가니스탄 등 전장에도 정신과 의사를 배치해 놓고 있다.

해병대보다 힘들기로 소문난 미 해군 특수부대(네이비실)의 문화를 따를 만하다는 지적도 있다. 네이비실은 부적응자를 억지로 교정시키기보다는 가차없이 탈락시킨다. 부적응 부대원이 있으면 그의 얼굴에 상관이 자신의 얼굴을 바짝 들이대고 침을 튀겨가며 온갖 모욕적인 욕설을 퍼붓는다고 한다.

워싱턴 김상연특파원

carlos@seoul.co.kr
2011-07-09 3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