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치 포획 멈춰”… 다랑어 8종 중 5종 멸종위기

“참치 포획 멈춰”… 다랑어 8종 중 5종 멸종위기

입력 2011-07-11 00:00
업데이트 2011-07-11 0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금 추세대로라면 다랑어(참치)가 없어 통조림이나 회를 먹지 못하는 날이 올 수도 있다. 스위스에 본부를 둔 국가 간 자연보호 기구인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이 새롭게 발표한 적색 리스트 초안에 따르면 8종의 다랑어 가운데 5종이 멸종위기종으로 분류됐다고 AFP통신이 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원인은 인간의 남획이다. 번식량을 고려하지 않고 마구잡이로 잡아들이는 바람에 다랑어가 세상에서 사라질 위기에 빠진 셈이다.

이미지 확대
IUCN은 11일부터 닷새 동안 미국 캘리포니아 샌디에이고에서 열리는 대륙간어업관리기구(RFMOs) 회의를 앞두고 공개한 자료를 통해 이같이 밝히고 각국 정부에 다랑어 보호를 위한 단호한 결단을 촉구했다. ICUN 보고서는 “다랑어 멸종을 막기 위한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개체수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회복될 때까지 다랑어 잡이를 중단하는 것”이라고 결론 내렸다.

보고서는 남방참다랑어의 상황이 가장 심각하다고 지적하며 등급을 ‘위급’(CR)으로 분류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남방참다랑어는 “이미 실질적으로 개체군이 붕괴해 회복 가능성이 희박한 지경”에 속한다. ‘위기’(EN)로 지정된 대서양참다랑어도 생존과 멸종의 경계에 서 있다.



이 밖에 눈다랑어는 ‘취약’(VU), 황다랑어와 날개다랑어는 ‘위기근접’(NT)으로 지목됐다. CR과 EN, VU 세 등급 모두 멸종위기종으로 분류된다. 5종의 다랑어 어획량은 연간 400만t에서 450만t에 이른다.

IUCN 해양 생물다양성 전문가인 켄 카펜터 올드 도미니언 대학 교수는 “다랑어 3종 모두가 지속적인 남획 때문에 붕괴 지경에 이르렀다.”면서 “이 어족들은 1970년대에 격감한 이후 개체수 회복의 조짐을 보이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보고서 작성에 참여한 전문가들은 규제를 피해 남획을 일삼는 다국적 어선들을 지목하며 “각국 정부가 어족 보호에 단호한 결의를 보여야 한다.”고 촉구했다.

미국 워싱턴에 본부를 둔 퓨 환경그룹 국제정책담당국장 수전 리버맨은 “보고서 내용은 해양보호운동가들이 지난 수십년 동안 알고 있던 것을 재확인하고 있다.”면서 “바로 열악한 어장관리가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한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너무 많은 어선들이 너무 적은 다랑어를 잡으려고 덤비는 바람에 세계 전역에서 다랑어 시장이 급격히 위축되고 있다.”고 꼬집었다.

보고서는 산업화된 어획으로 인해 지난 반세기 동안 전 세계 대형 야생 어류 개체수가 90% 줄었으며 이대로 가면 돌이킬 수 없는 멸종 사태가 계속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들 대부분은 다랑어처럼 해양생태계 먹이사슬의 꼭대기에 위치하기 때문에 이들의 개체수 격감은 해양생태계에 상당한 타격을 입힐 수 있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강국진기자 betulo@seoul.co.kr
2011-07-11 19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