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3곳에 레이저 위성요격기지”

“中, 3곳에 레이저 위성요격기지”

입력 2011-10-24 00:00
수정 2011-10-24 00:5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美 첩보위성 사진분석… “신장 등서 고성능 무기 실험”

중국 내 3곳에 위성을 요격할 수 있는 레이저 무기들이 배치돼 있을 가능성이 제기됐다. 미국 첩보위성이 촬영한 사진을 분석한 결과 중국 군이 안후이성의 허페이(合肥)와 쓰촨성의 몐양(綿陽), 신장(新疆)위구르자치구의 톈산(天山) 부근 등 세 곳에 위성공격용 레이저 무기들을 배치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홍콩 문회보가 미국 잡지 와이어드를 인용해 23일 보도했다.
이미지 확대
 신문에 따르면 미 정보 당국은 중국이 1980년대부터 고성능 레이저 무기 개발에 착수했으며, 상당한 진전을 이룬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중국은 특히 오래전부터 톈산 일대에 위성공격용 레이저 무기시스템을 배치했으며 최근에도 이곳에서 여러 차례 최신 레이저 무기를 실험한 것으로 보고 있다.

 미군 측 정보소식통은 중국 군이 신장에서 최신 레이저 무기 실험을 진행하는 이유로 해안지대와 멀리 떨어진 내륙이기 때문에 미국과 일본의 정찰과 파괴를 피할 수 있고, 미국과 러시아의 위성활동을 탐지하기 쉽다는 점 등을 꼽았다. 미군과 동맹국군은 중국의 군사위성 요격 가능성에 대비해 고공비행기, 무인전투기, 고공감시열기구 등의 ‘대체품’ 연구에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신문은 또 중국이 3곳의 레이저 위성요격시설 외에 위성추적을 위해 다수의 레이저 거리측정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고 미국의 최신 정보를 인용해 보도했다. 레이저 무기의 연구개발은 탄도미사일 연구와 개선에도 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중국 군이 더욱 적극적이라고 덧붙였다. 중국 군은 2007년 1월 11일 쓰촨성 시창(西昌)위성발사센터에서 위성요격용 탄도미사일을 발사해 지상 850㎞ 궤도를 돌고 있던 기상관측위성 펑윈(風雲)을 파괴하는 데 성공한 바 있다.

 베이징 박홍환특파원 stinger@seoul.co.kr



2011-10-24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