伊 최대은행은 ‘현금왕’ 마피아?

伊 최대은행은 ‘현금왕’ 마피아?

입력 2012-01-12 00:00
수정 2012-01-12 00:4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자금 96조원 보유… 폭리 대출 악명

막강한 현금실탄을 보유한 마피아가 경제위기를 틈타 폭리대출로 중소기업들을 옥죄며 이탈리아 최대 은행(?)으로 부상하고 있다.

●경제위기 틈타 中企 압박

27만개 기업을 회원으로 둔 이탈리아 중소기업협회 콘페세르첸티의 산하단체 ‘SOS 임프레사’는 마피아가 조직적인 범죄를 통해 연간 1400억 유로(약 206조 8000억원)의 매출과 1000억 유로(약 147조 7000억원) 이상의 순이익을 올리고 있다고 10일(현지시간) 보고서를 통해 폭로했다. 마피아는 현금만 650억 유로(약 96조원)를 보유하는 등 대규모 자금력으로 이탈리아 ‘제1은행’이라는 평가까지 듣고 있다.

시칠리와 나폴리, 칼라브리아에 각각 거점을 둔 코사 노스트라, 카모라, 은드랑게타 등의 마피아 단체들은 오랫동안 이탈리아 경제를 장악해 왔다. 이들은 이탈리아 국내총생산(GDP)의 7%(1000억 유로)에 이르는 부를 축적하고 있다고 로이터, DPA 등이 보도했다.

●伊 GDP 7%장악… 年매출 206조원

특히 최근 마피아들은 경기침체로 돈을 빌리기 어려워진 중소기업에 더욱 교묘한 방법으로 고금리 대출을 해 준 뒤 돈을 갚지 못하면 가차없이 대출금 회수에 나서 ‘국가적 비상사태’를 초래하고 있다고 보고서는 비판했다. 터무니없이 높은 금리에 20만개 기업이 엮여 있으며 수만명이 일자리를 잃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전통적인 이웃이나 거리에서의 대부업은 사라지고 특정 집단과 연계된 조직적인 고리대금업이 고위층의 묵인하에 번성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폭리대출의 전형적인 희생양은 파산을 피하기 위해 뭐라도 할 준비가 돼 있는 식료품가게 등 전통적인 소매업에 종사하는 영세업자들이 대부분이다. 최근 한 조사에 따르면 56%의 기업이 지난 3개월간 은행의 대출 조건이 더 엄격해졌다고 답하는 등 금융기관의 대출 요건이 까다로워지면서 이들은 점점 더 마피아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마피아는 기존의 수익사업인 도박업을 넘어 건설, 의료, 운송, 유독성 폐기물 처리 사업 등 합법적이고 비전통적인 분야에도 마수를 뻗치고 있다.

정서린기자 rin@seoul.co.kr

2012-01-12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