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의 핵 프로그램에 대한 공격론을 둘러싸고 이스라엘 지도자들 사이에 이견이 노출되고 있다고 CNN과 워싱턴포스트가 2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 에후드 바라크 국방장관은 이란 핵프로그램 시설에 대해 미국이 가능하면 강도 높게 타격해야 한다고 계속 주장해 왔다.
●네타냐후 “이란, 핵개발 계속”
하지만 베니 간츠 이스라엘군 총사령관은 이날 이스라엘 일간지 하레츠와 가진 인터뷰에서 “이란이 핵폭탄을 만드는 선택을 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간츠는 “이란이 핵무기 제조를 결정할 수 있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 그러나 아직 더 나갈 것인지 결정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군은 명령을 받으면 행동에 들어갈 준비가 돼 있다.”며 “군사적 선택은 신뢰할 수 있는 최후의 수단”이라고도 했다.
반면 네타냐후 총리는 같은 날 “국제적 경제제재는 이란 경제에 약간 타격을 가하지만 이란은 핵프로그램을 조금도 멈추지 않고 진행하고 있다.”며 공격 필요성을 역설했다. 그는 CNN과의 인터뷰에서 “우리가 이란과 대화를 재개하기 전이나 대화 도중, 또는 우리가 지금 이야기하는 중에도 이란은 원심분리기를 가동하고 있다.”며 불신감을 드러났다. 바라크 국방장관도 그동안 이란 핵시설의 직접 타격을 줄곧 주장했다.
●군 수뇌 “군사공격은 최후선택”
이들의 엇갈린 의견과 관련, 하레츠의 군사전문기자 아미르 오렌은 “이스라엘 국민들은 네타냐후가 싸우고 싶어 안달이 났다는 인상을 갖고 있다.”며 “군은 그렇지 않고, 결과에 무게중심을 두고 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간츠의 발언을 정치 지도자들에 대한 도전으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고 입을 모은다. 군사행동에 들어가야 할 만큼 긴급성을 확신하지 못했고, 군사공격 시 실패 가능성을 우려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또 이스라엘 관리들이 현재의 위기에서 빠져나올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는 증거라고 보고 있다.
유발 스타이니츠 이스라엘 재무장관은 “경제제재는 이란의 핵무기 야욕을 그만두게 할 것”이라며 “러시아가 제재 국가 대열에 합류하면 붕괴 직전의 이란 경제에 치명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란 최고지도자 아야툴라 알리 하메네이는 그동안 “이란은 핵무기를 만들 의도가 없으며, 농축 우라늄은 평화적 목적”이라고 말했다.
이기철기자 chuli@seoul.co.kr
●네타냐후 “이란, 핵개발 계속”
하지만 베니 간츠 이스라엘군 총사령관은 이날 이스라엘 일간지 하레츠와 가진 인터뷰에서 “이란이 핵폭탄을 만드는 선택을 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간츠는 “이란이 핵무기 제조를 결정할 수 있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 그러나 아직 더 나갈 것인지 결정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군은 명령을 받으면 행동에 들어갈 준비가 돼 있다.”며 “군사적 선택은 신뢰할 수 있는 최후의 수단”이라고도 했다.
반면 네타냐후 총리는 같은 날 “국제적 경제제재는 이란 경제에 약간 타격을 가하지만 이란은 핵프로그램을 조금도 멈추지 않고 진행하고 있다.”며 공격 필요성을 역설했다. 그는 CNN과의 인터뷰에서 “우리가 이란과 대화를 재개하기 전이나 대화 도중, 또는 우리가 지금 이야기하는 중에도 이란은 원심분리기를 가동하고 있다.”며 불신감을 드러났다. 바라크 국방장관도 그동안 이란 핵시설의 직접 타격을 줄곧 주장했다.
●군 수뇌 “군사공격은 최후선택”
이들의 엇갈린 의견과 관련, 하레츠의 군사전문기자 아미르 오렌은 “이스라엘 국민들은 네타냐후가 싸우고 싶어 안달이 났다는 인상을 갖고 있다.”며 “군은 그렇지 않고, 결과에 무게중심을 두고 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간츠의 발언을 정치 지도자들에 대한 도전으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고 입을 모은다. 군사행동에 들어가야 할 만큼 긴급성을 확신하지 못했고, 군사공격 시 실패 가능성을 우려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또 이스라엘 관리들이 현재의 위기에서 빠져나올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는 증거라고 보고 있다.
유발 스타이니츠 이스라엘 재무장관은 “경제제재는 이란의 핵무기 야욕을 그만두게 할 것”이라며 “러시아가 제재 국가 대열에 합류하면 붕괴 직전의 이란 경제에 치명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란 최고지도자 아야툴라 알리 하메네이는 그동안 “이란은 핵무기를 만들 의도가 없으며, 농축 우라늄은 평화적 목적”이라고 말했다.
이기철기자 chuli@seoul.co.kr
2012-04-27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