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새 난민법 상원서 부결…난민정책 표류

호주 새 난민법 상원서 부결…난민정책 표류

입력 2012-06-28 00:00
수정 2012-06-28 17:2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길라드 총리 “마지막 기회” 호소도 무위…야당 “길라드, 진정성 없어”

호주 집권 노동당이 무소속 의원의 도움을 받아 추진한 새 난민법이 하원을 가까스로 통과했지만 상원에서 결국 부결돼 난민정책을 둘러싼 난맥상이 지속되고 있다.

호주에서는 최근 일주일새 난민 수백명을 태우고 호주령 크리스마스 섬으로 향하던 배가 잇따라 전복되면서 100명이 넘는 사망자가 발생하자 정치권에 실효성있는 난민정책 수립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았다.

28일 호주 언론에 따르면 호주 연방상원은 이날 오후 늦게 롭 오크샷 무소속 의원이 발의하고 줄리아 길라드 총리가 이끄는 집권 노동당이 지지한 새 난민법을 표결에 부쳤으나 찬성 29표, 반대 39표로 부결했다.

새 난민법은 전날 연방하원을 찬성 74표, 반대 72표로 가까스로 통과했으나 상원의 문턱을 넘지는 못했다.

노동당이 상원에서 단독 과반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고 야당인 자유당과 국민당, 녹색당이 모두 새 난민법에 대해 명백한 반대의사를 표시하면서 이날 상원 부결은 예정된 순서였다.

오크샷 의원이 노동당의 지지를 등에 업고 발의한 새 난민법은 호주 영토가 아닌 말레이시아에서 난민심사를 하고 인근 나우루공화국에 난민수용센터를 설치하는 등의 내용을 담고 있으나 자유당은 ‘말레이시아안(案)’에 대해, 녹색당은 ‘말레이시아안’과 ‘나우루안’에 대해 모두 반대하고 있는 실정이다.

토니 애보트 대표가 이끄는 자유당은 밀려드는 난민을 무조건 호주땅에 들여놓지 말고 과거에 그랬던 것처럼 나우루공화국에 난민수용센터를 만들어 수용하자고 주장하고 있다.

호주 정부는 원래 자유당이 집권하던 지난 2001~2008년 나우루공화국에 경제적 원조를 해주는 대가로 난민수용센터를 설치, 운영해왔으나 2007년 말 케빈 러드의 노동당이 집권하면서 이를 폐쇄했다.

그러나 지난해 8월 연방대법원이 호주땅이 아닌 해외에서 난민심사를 하는 ‘말레이시아안’이 헌법에 위배된다고 판결하자 노동당은 법안의 내용을 일부 개정해 의회 표결에 부쳤으나 이마저도 부결돼 난민정책이 표류하는 양상을 보여왔다.

하지만 지난해 12월 아프가니스탄과 이란 난민 250여명을 태우고 크리스마스 섬으로 향하던 선박이 인도네시아 영해에서 침몰, 47명만 구조되고 200여명이 숨진 데 이어 지난 21일에도 난민선이 전복돼 90여명이 사망하자 호주 정치권의 무능을 비판하는 여론이 높아졌다.

실효성있는 난민 정책 수립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자 길라드 총리는 무소속 의원과의 교감을 통해 자유당이 주장하는 ‘나우루안’을 법안 내용에 일부 포함한 새 난민법을 급조해 밀어붙였으나 또다시 상원의 문턱을 넘지 못하면서 정치력에 한계를 드러냈다.

결국 호주 정치권은 이번에도 비판 여론에 떼밀려 부산만 떨었을 뿐 실효성 있는 난민정책을 마련하는 데 실패하면서 ‘오스트레일리안 드림’을 찾아 호주땅을 밟으려다 배가 침몰해 다수 사망자를 내는 난민선의 비극은 앞으로도 되풀이될 전망이다.

연합뉴스

김용호 서울시의원, ‘제1회 2025 서울 ESG 경영포럼’ 참석 축사…서울시 정책기조 실현 강조

서울시의회 도시안전건설위원회 부위원장으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호 시의원(국민의힘, 용산1)은 지난 18일 한국프레스센터 매화홀(19층)에서 개최된 ‘제1회 2025 서울 ESG 경영포럼’에 참석해 축사를 전했다. 이번 포럼은 서울연구원이 주최하고, ‘신정부의 ESG 정책 기조와 서울시 ESG 경영 추진방향’을 주제로 ESG 경영 선도 도시 구현을 위한 정책 의제를 발굴하고 실효성 있는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자 관·산·학·연·민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서울시 ESG 경영의 방향성과 과제를 논의하는 뜻깊은 자리였다. 포럼에는 김 의원을 비롯해 서울연구원 오균 원장, 서울시 120다산콜재단 이이재 이사장, 지속가능경영학회 김영배 회장, ESG 콜로키움 김영림 의원대표(동작구의원), 서울시의회 박상혁 교육위원장과 장태용 행정자치위원장, 용산구의회 이미재·김송환 의원, 종로구의회 김하영 의원, 강동구의회 강유진 의원 등이 참석했으며, 서강대학교 송민섭 교수,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 이종오 사무국장, 한국ESG평가원 손종원 대표, 국제사이버대학교 김수정 교수, 공기관 및 시민단체 등 100여명이 참석했다. 김 의원은 축사에서 “기후위기와 사회적 불평등 문제가 심화
thumbnail - 김용호 서울시의원, ‘제1회 2025 서울 ESG 경영포럼’ 참석 축사…서울시 정책기조 실현 강조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