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영국에서 구입 후 한 번도 입지 않은 채 장롱 속에 버려진 옷이 17억벌로 이는 영국인 모두가 성별과 나이 할 것 없이 각각 평균 28벌의 안 입는 옷을 소유한 셈이라고 데일리메일 온라인판이 1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자원낭비 방지활동 단체인 ‘랩(Wrap:the Waste & Resources Action Programme)’이 성인 8천여명의 의류소비행태를 조사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장롱에 버려진 옷의 총 가격은 300억파운드(약 5조3천억원)에 이른다.
장롱 속 옷의 평균 30%를 차지, 무려 43만t에 달하는 이 옷들 중 3분의 1은 더 오래 입거나 중고가게에 맡길 수 있음에도 쓰레기장으로 향한다.
구입한 옷을 입지 않는 가장 흔한 이유는 더 이상 몸에 맞지 않기 때문이었고 특별한 날을 위해 아껴두는 것이라거나 버릴 짬이 나지 않는다는 답도 있었다.
일반적인 가정에서 한 해에 옷을 사는 데 쓰는 비용은 1천700파운드로 식료품 지출에 버금간다.
구입한 옷을 유용하게 입을 수 있는 기간은 평균 2년 3개월로 조사됐는데, 옷의 수명을 9개월만 더 늘리면 50억파운드의 자원을 절약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연합뉴스
자원낭비 방지활동 단체인 ‘랩(Wrap:the Waste & Resources Action Programme)’이 성인 8천여명의 의류소비행태를 조사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장롱에 버려진 옷의 총 가격은 300억파운드(약 5조3천억원)에 이른다.
장롱 속 옷의 평균 30%를 차지, 무려 43만t에 달하는 이 옷들 중 3분의 1은 더 오래 입거나 중고가게에 맡길 수 있음에도 쓰레기장으로 향한다.
구입한 옷을 입지 않는 가장 흔한 이유는 더 이상 몸에 맞지 않기 때문이었고 특별한 날을 위해 아껴두는 것이라거나 버릴 짬이 나지 않는다는 답도 있었다.
일반적인 가정에서 한 해에 옷을 사는 데 쓰는 비용은 1천700파운드로 식료품 지출에 버금간다.
구입한 옷을 유용하게 입을 수 있는 기간은 평균 2년 3개월로 조사됐는데, 옷의 수명을 9개월만 더 늘리면 50억파운드의 자원을 절약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