加퀘벡 분리주의당 승리행사서 총격

加퀘벡 분리주의당 승리행사서 총격

입력 2012-09-05 00:00
수정 2012-09-05 17:0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퀘벡당 당수 승리연설때 발생‥ 1명사망, 당수는 무사

캐나다에서 유일하게 프랑스어를 공용어로 쓰는 퀘벡주에서 분리주의 정당이 집권한 4일(현지시간) 승리축하 행사장에서 총기 테러가 발생, 캐나다 전역이 충격에 빠졌다.

몬트리올 경찰에 따르면 4일(현지시간) 밤 주 의회선거 결과가 나온 뒤 주 총리직을 맡게 된 폴린 마르와 퀘벡당(PQ) 당수가 몬트리올 시내 메트로폴리스 극장에서 승리연설을 할 때 총격이 발생했다. 자정 가까운 시각에 발생한 이 총격으로 45세 남성 1명이 숨지고 30대 남성 1명이 다쳤다고 경찰 관계자들은 전했다.

용의자는 마르와 당수가 수백명의 지지자 앞에서 영어로 연설을 시작한 지 얼마 지나지 않은 때 극장 후미에서 총을 발사한 것으로 파악됐다. ‘퀘벡은 독립주권 국가가 되어야 한다’는 취지의 발언이 나온 직후 총성이 들린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공격이 마르와 당수를 겨냥한 것이었는지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마르와 당수는 총성이 들리자 황급히 무대 뒤로 몸을 숨겨 화를 면했다.

범행 직후 극장 밖으로 나가려다 체포된 용의자는 50대 남성으로, 검은색 스키용 마스크와 푸른색 목욕 가운을 걸친 상태였다.

용의자가 체포될 당시 프랑스어로 “잉글랜드인들이 각성하고 있다”고 외치는 장면이 카메라에 포착되면서 퀘벡주 분리독립 반대파의 테러일 개연성이 제기되고 있지만 용의자의 신원과 범행 동기는 아직 파악되지 않았다고 경찰은 밝혔다.

마르와 당수는 집권시 주내 영어 사용자들의 권리를 보호할 것임을 공언해왔다.

사태가 진정된 이후 연단으로 돌아온 마르와 당수는 청중들에게 평화롭게 해산할 것을 당부한 뒤 경호원들의 엄호 속에 행사장을 빠져나갔다.

현장에 권총과 소총 각각 1정이 발견된 가운데, 아직 공범의 존재는 확인되지 않았다고 경찰은 전했다.

퀘벡주 선거관리위원회 웹사이트에 공개된 잠정 개표 결과에 따르면 4일 치러진 주 의회 선거에서 퀘벡주의 분리 독립을 요구하는 PQ가 32%의 득표로 전체 125석 가운데 57석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됐다.

기존 집권당인 자유당은 30% 득표로 46석, 신생 퀘벡미래연합(CAQ)은 27%로 20석을 각각 가져갈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

이숙자 서울시의회 운영위원장, 서초 낮은울타리 평생학습센터 개소식 참석

이숙자 서울시의회 운영위원장(국민의힘, 서초2)은 지난 25일 서초구 신반포로에 새롭게 문을 연 ‘서초 낮은울타리 평생학습센터’ 개소식에 참석해 센터의 출범을 함께했다. 이 센터는 지적장애 기준에는 해당하지 않지만, 일상생활과 학습에서 어려움을 겪는 경계선지능인을 위한 공공 평생학습 공간으로 서초구가 조성한 시설이다. 이 위원장은 이날 개소식에 참여해 센터 설립 경과보고를 청취하고 주요 내빈들과 함께 테이프 커팅 및 시설 라운딩 일정을 소화했다. 이번 센터는 경계선지능인을 위한 상담, 검사, 맞춤형 교육 등 다양한 기능을 갖춘 복합형 공공지원 공간으로, 단순한 학습 시설을 넘어 생애 주기별 자립 역량을 키우기 위한 기반으로 마련됐다. 한편, 이 위원장은 지역의 교육환경 개선을 위한 현안에 꾸준히 관심을 기울여 왔다. 서초구 내 사립학교 재정지원 확대, 청소년 유해환경 개선 캠페인 참여 등을 비롯해, 아동·청소년이 안전하고 균형 있게 성장할 수 있는 기반 마련을 위한 다양한 의정활동을 지속해왔다. 행사를 마친 뒤 이 위원장은 “이번 센터는 단순한 교육 공간을 넘어, 시민 한 사람 한 사람이 배움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공공의 약속”이라며 “서초
thumbnail - 이숙자 서울시의회 운영위원장, 서초 낮은울타리 평생학습센터 개소식 참석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