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로 반대에… 中지도부 재산공개 ‘무산’

원로 반대에… 中지도부 재산공개 ‘무산’

입력 2012-12-31 00:00
업데이트 2012-12-31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강행땐 은닉재산 폭로” 반발

시진핑(習近平) 총서기를 비롯한 중국 새 최고지도부의 재산 공개 계획이 일부 전임자들의 거센 반대에 부딪혀 무산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새 지도부의 개혁 의지가 큰 도전에 직면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미지 확대
시진핑(習近平) 주석
시진핑(習近平) 주석
시 총서기 등 공산당 정치국 상무위원 7명이 이미 당 중앙위원회에 재산 신고를 끝마쳤지만 상무위원을 역임한 일부 원로들의 반대 때문에 공개되지 않고 있다고 타이완의 연합신문망이 해외에 서버를 둔 중국어 사이트 보쉰(博訊)을 인용해 30일 보도했다.

이들은 “새 지도부가 재산을 공개한다면 그들의 해외 은닉 재산을 모두 까발려 낙마시킬 수도 있다.”며 극렬하게 반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보쉰 등은 지도부 재산공개에 반대하는 인사들이 누구인지는 밝히지 않았다.

중국 안팎에서는 시 총서기 등의 재산공개 계획이 무산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 보쉰은 이와 관련, “청년 10여명이 지난 4월 1일 광둥(廣東)성 광저우(廣州)에서 후진타오(胡錦濤) 주석 등 지도부의 재산 공개를 촉구하며 피켓 시위를 벌이다 끌려간 뒤 지금껏 행방이 묘연하다.”고 전했다.

장쩌민(江澤民) 전 주석이 최근 옛 공직자의 출판 기념식에 헌정사를 보내는 등 시 총서기의 격식파괴 지침을 위반하는 공개 행보를 보인 것도 시 총서기의 개혁이 반대에 부딪히고 있다는 신호라는 관측도 나온다.

한편 일반 공직자 재산공개는 본격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늦어도 1~2년 내에 공직자 재산공개가 가능할 것이란 전망이다. 관영 신화통신은 지난 28일 폐막한 11기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상무위원회 제3차 회의에서 공직자 재산신고 관련 법률제도 등이 내년 입법 계획으로 채택됐다고 보도했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2012-12-31 19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