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섯 고개 넘은 동해병기法…”두 고비 지나면 승리”

다섯 고개 넘은 동해병기法…”두 고비 지나면 승리”

입력 2014-02-04 00:00
수정 2014-02-04 00:0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하원 상임위 압도적 가결에 200여 한인 일제히 환호”매 순간 살얼음판 걷는 기분…마지막까지 최선”

“한 걸음 한 걸음 살얼음판을 걷는 기분입니다. 이제 두 고비만 넘으면 됩니다.”

3일(현지시간) 오전 미국 버지니아주 주도인 리치먼드 시내 의회 의사당.

미국 지방자치단체 최초로 공립학교 교과서에 ‘동해’(East Sea)와 ‘일본해’(Sea of Japan)를 의무적으로 병기하도록 하는 법안을 심의·처리하기 위한 버지니아주 하원 교육위원회 전체회의가 열렸다.

’찬성(Yea) 18표, 반대(Nay) 3표’라는 표결 결과가 하원 회의장 전광판을 통해 나오자 초조하게 심의 및 투표 진행 과정을 지켜보던 200여명의 한인들은 일제히 환호했다.

대부분 버지니아 북부의 애넌데일, 매클린 등지에서 새벽에 출발해 굵은 빗속을 뚫고 2시간 동안 달려온 한인단체 대표들이다.

통과를 낙관하면서도 “행여나 찬성 의사를 밝혔던 의원들이 반대표를 던지면 어떡하나” 했던 의구심이 씻기는 순간이었다.

이 운동을 주도하는 사단법인 ‘미주한인의 목소리’(VoKA) 피터 김 회장은 “상원이나 하원이나 매 순간 어렵지 않은 때가 없었지만, 이젠 마지막 고지가 어느 정도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전날 교육위원회 소속 22명(공화 15명, 민주 7명) 가운데 10명은 확실하게 찬성하고 최소 4명가량이 더 합세할 것으로 내다봤었다.

결과는 기대치보다 훨씬 좋았다.

찬성이 18명에 달한 반면 반대는 3명에 그친 것이다.

지난달 29일 소위원회 표결(찬성 5명, 반대 4명) 때보다 반대표가 오히려 1명 줄었다.

공화당 의원들은 민주당 소속의 테리 매콜리프 주지사가 측근 등을 동원해 법안을 부결시키려 한 데 반발해 당론에 따라 대부분 지지했다.

또 이 법안에 대한 반대 기류가 강한 민주당 의원들도 같은 상임위 소속의 한국계 3선 의원인 마크 김 하원의원과의 관계를 의식한 듯 상당수가 찬성 대열에 동참했다.

이런 분위기를 반영해 심의와 표결에 걸린 시간은 20분이 안 걸렸다.

오전 8시6분께 시작된 회의는 법안 발의자인 팀 휴고(공화) 하원의원의 제안 설명과 피터 김 회장의 지지 발언, 주미 일본 대사관 측이 고용한 로펌 측의 반대 의사 표명 등의 순으로 일사천리로 진행됐다.

한 의원은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라고 우리 말로 인사를 전하면서 지지 의사를 표명하기도 했다.

한인들은 또 하나의 큰 고비를 넘었다면서 이제 승리가 멀지 않았다고 입을 모았다.

법안이 의회 관문을 완전히 넘어 주지사까지 서명해 발효하려면 모두 일곱 단계의 절차를 거쳐야 하는데 어느덧 상·하원을 합쳐 다섯 고개를 넘었다는 것이다.

따라서 하원 전체회의와 주지사 서명이라는 두 고비만 더 넘기면 최종 승리하게 되는 셈이다.

한인들은 그러면서도 끝까지 긴장의 끈을 놓지 않겠다고 다짐했다.

린다 한 워싱턴한인연합회장은 “하원 전체회의는 의원이 100명이나 되기 때문에 어떤 일이 생길지 모르고 의회를 통과하더라도 주지사 서명을 받아야 한다”며 “모든 단계마다 뚜껑을 열어봐야 안심할 수 있는 상태여서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홍국표 서울시의원 “학생·지역주민 교통복지 개선 위한 마을버스 확충 매우 시급”

서울시의회 홍국표 의원(국민의힘, 도봉2)은 지난 14일 효문고등학교에서 마을버스 운행과 관련한 학부모 간담회를 주선해 지역 교통 개선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는 효문고 교장, 효문중 교장, 교감, 도봉구청 관계자, 지역운수업체 및 효문고, 효문중, 쌍문초 학부모 등 약 20명이 참석해 학생들의 수요가 많은 마을버스의 증차, 노선변경 및 신설 등에 대해 건의했다. 학부모들은 “인근지역 주택공급 및 개발로 효문고, 효문중, 쌍문초는 물론 덕성여대까지 교통수요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마을버스 배차간격이 길고, 무엇보다 쌍문역 같은 지역수요가 많은 교통요지와의 접근성에 문제가 많다”라며 “학생뿐만 아니라 지역주민에게도 숙원사업”이라고 적극 건의했다. 학교 측에서도 “학교 위치가 너무 외져서 기간제교사를 채용할 시 지원율이 상당히 낮고, 특히 초임교사들에게도 교통상의 문제로 출퇴근에 어려움이 있다”고 의견을 제시했다. 홍 의원은 “학생복지뿐만 아니라 교통복지 차원에서 학교의 접근성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하며 “교육환경 개선은 단순히 시설 확충만으로 해결되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통학할 수 있는 교통 인프라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thumbnail - 홍국표 서울시의원 “학생·지역주민 교통복지 개선 위한 마을버스 확충 매우 시급”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