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유럽 금융질서에 도전장… ‘브릭스판 IMF’ 뜬다

美·유럽 금융질서에 도전장… ‘브릭스판 IMF’ 뜬다

입력 2014-07-14 00:00
업데이트 2014-07-14 03: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5일 정상회의서 개발은행 협정

브릭스(BRICS) 5개국이 신흥국판 세계은행(WB)이자 국제통화기금(IMF)으로 불리는 ‘신개발은행’을 설립한다. 미국과 유럽 선진국이 주도하는 기존 IMF 금융 체제를 견제하기 위해서다.

이미지 확대
AFP통신은 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남아프리카공화국이 15~16일 브라질 포르탈레자에서 열리는 6차 브릭스 정상회의에서 자체 개발은행 설립 협정을 맺는다고 1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은행 이름은 ‘신개발은행’으로 개발도상국이나 저개발국가의 기반시설 프로젝트에 자금을 지원한다. 금융위기에 처한 국가에 외환을 공여하는 통화준비기금도 설립한다.

출범에 앞서 중국과 러시아는 중남미 포섭에 나섰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브릭스 정상회의 후 멕시코, 베네수엘라, 쿠바 등 라틴아메리카-카리브 국가공동체(CELAC) 정상들을 만난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도 지난 11일 쿠바에 이어 12일 아르헨티나를 공식 방문했다. 아르헨티나가 브릭스에 가입할 가능성도 제기됐다. 전통적으로 미국과 가까운 중남미를 포섭해 미국을 견제하겠다는 의도가 다분하다.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 이후 중국과 러시아는 4000억 달러에 달하는 장기 천연가스 공급 계약을 체결하는 등 친밀감을 과시하고 있다. 결국 미국에 맞서 안보 이익을 공유하는 중국, 러시아, 인도가 합쳐지면서 안보 지형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고 미국 외교 전문지 포린폴리시(FP)가 분석했다.

브릭스 개발은행은 WB나 IMF 역할을 부분적으로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WB가 빈곤 퇴치나 클린 에너지 개발 등에 자금을 지원했다면 브릭스 개발은행은 저개발국에 기반시설 설립 자금을 지원하는 것이 주된 목표다. FP는 “브릭스 개발은행은 인권 문제나 금융 시장 개방성을 내세우는 WB나 IMF보다 조건이 까다롭지 않아 기반시설을 건설하는 데 막대한 자금이 필요한 아시아 국가들이 선호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브라질 외무부 아우프레두 그라사 리마 정무차관은 “브릭스는 여러 차례에 걸쳐 IMF의 개혁을 촉구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면서 “우리는 세계은행과 IMF를 보완하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브릭스는 개발은행을 내년 말까지 설립해 2016년부터 본격적으로 가동할 계획이다. 본부로는 중국 상하이가 유력시되며 인도 뉴델리와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도 경쟁을 벌이고 있다. 다른 나라도 참여할 수 있지만 브릭스 5개국이 지분 55%를 보유해 주도권을 행사하기로 했다.

개발은행의 초기 자본금은 각국이 100억 달러씩 출자해 500억 달러를 조성한다. 기금은 중국이 410억 달러, 브라질·인도·러시아 각각 180억 달러, 남아공이 50억 달러를 출연해 총 1000억 달러의 자본금을 만든다.

이민영 기자 min@seoul.co.kr
2014-07-14 11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