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현성 특파원= 세계보건기구(WHO)는 1일(현지시간) 유엔과 해당 국가 정부, 비정부기구(NGO) 등이 노력한 덕분에 서아프리카 3개 국가의 에볼라 확산이 크게 진정되고 있지만, 아직 에볼라 발병을 원천 차단하기는 어려운 상태라고 밝혔다.
브루스 에일워드 WHO 사무부총장은 이날 스위스 제네바 유엔본부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지난 10월 초 에볼라 전염 속도와 현재와는 완전히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면서 “하지만, 새로운 발병이 여전히 계속돼 발병률 제로로 가기에는 충분하지 않은 상태”라며 이같이 말했다.
에일워드 부총장은 특히 이들 3개 국가에서 에볼라로 사망한 사람의 70% 이상을 안전하게 매장한다는 WHO의 목표는 이뤘으나 감염자의 70%를 격리하고 치료한다는 목표는 라이베리아와 기니에서 달성했지만, 시에라리온은 미달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그러나 “에볼라 확산을 차단하려는 노력이 현장에서 지역별로 차이가 있지만 상당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면서 “라이베리아에서는 새로운 감염이 줄어들고, 기니도 안정적이지만 시에라리온은 아직 북부와 서부에서 증가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에볼라가 언제 끝날 것으로 예견하느냐는 질문에 에일워드 부총장은 “에볼라는 사람 간의 접촉으로 감염되고 그 감염 경로를 잘 관찰하지 않으면 급격히 확산된다”면서 “현재 에볼라 확산 추세가 꺾인 것은 뚜렷하지만, 에볼라 감염이 사람의 행위에 따른 것이라 미리 예단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그는 아울러 “지금까지 대응을 잘했으나 자칫 경계를 늦춰서는 안 된다”면서 “에볼라의 위험은 여전히 큰 상태이며 긴장 상태를 계속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WHO의 에볼라 통계가 이상하다는 질문에 에일워드 부총장은 “지난주 서아프리카 3개국의 에볼라 사망자 수를 6천928명으로 발표했지만, 라이베리아가 사망자 약 1천명을 잘못 추가해 보고한 것으로 확인됐다”면서 “앞으로 통계 발표에서 이를 조정할 것”이라고 답했다.
연합뉴스
브루스 에일워드 WHO 사무부총장은 이날 스위스 제네바 유엔본부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지난 10월 초 에볼라 전염 속도와 현재와는 완전히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면서 “하지만, 새로운 발병이 여전히 계속돼 발병률 제로로 가기에는 충분하지 않은 상태”라며 이같이 말했다.
에일워드 부총장은 특히 이들 3개 국가에서 에볼라로 사망한 사람의 70% 이상을 안전하게 매장한다는 WHO의 목표는 이뤘으나 감염자의 70%를 격리하고 치료한다는 목표는 라이베리아와 기니에서 달성했지만, 시에라리온은 미달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그러나 “에볼라 확산을 차단하려는 노력이 현장에서 지역별로 차이가 있지만 상당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면서 “라이베리아에서는 새로운 감염이 줄어들고, 기니도 안정적이지만 시에라리온은 아직 북부와 서부에서 증가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에볼라가 언제 끝날 것으로 예견하느냐는 질문에 에일워드 부총장은 “에볼라는 사람 간의 접촉으로 감염되고 그 감염 경로를 잘 관찰하지 않으면 급격히 확산된다”면서 “현재 에볼라 확산 추세가 꺾인 것은 뚜렷하지만, 에볼라 감염이 사람의 행위에 따른 것이라 미리 예단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그는 아울러 “지금까지 대응을 잘했으나 자칫 경계를 늦춰서는 안 된다”면서 “에볼라의 위험은 여전히 큰 상태이며 긴장 상태를 계속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WHO의 에볼라 통계가 이상하다는 질문에 에일워드 부총장은 “지난주 서아프리카 3개국의 에볼라 사망자 수를 6천928명으로 발표했지만, 라이베리아가 사망자 약 1천명을 잘못 추가해 보고한 것으로 확인됐다”면서 “앞으로 통계 발표에서 이를 조정할 것”이라고 답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