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지상파 드라마서 한인배우들 활약 ‘눈에 띄네’

미국 지상파 드라마서 한인배우들 활약 ‘눈에 띄네’

입력 2015-02-14 03:51
수정 2015-02-14 03:5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미국 지상파 방송에서 최근 한인 배우들의 활약이 두드러지고 있다.

13일(현지시간) 미국 언론들에 따르면 이달 초 지상파 방송 ABC에서 전파를 타기 시작한 화요 시트콤 ‘프레시 오프 더 보트’(Fresh Off the Boat)에 랜달 박(40)이 주연을 맡았다.

랜달 박은 지난해 말 소니픽처스 해킹 사태를 촉발한 영화 ‘인터뷰’에서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 역을 맡아 주목을 받은 바 있다.

갓 도착한 이민자를 뜻하는 ‘프레시 오프 더 보트’는 대만계 셰프 에디 황의 동명 자서전을 토대로 만든 것으로, 대만계 이민 가정이 미국에 정착하면서 겪는 각종 에피소드를 코믹하게 다룬 드라마다.

이어 한인 배우 켄 정(46)이 제작·주연을 맡은 메디컬 코미디 드라마 ‘닥터 켄’(Dr. Ken)도 ABC의 파일럿 드라마로 편성됐다.

이 드라마는 평범한 의사 켄이 일상생활에서 겪은 소소한 에피소드를 담았다. 전직 의사 출신인 켄 정의 자전적 경험도 일부 담겨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ABC는 ‘닥터 켄’의 완성도와 시청자 반응 등을 평가해 정규 편성 여부를 결정할 예정으로, 현재로서는 채택 가능성이 작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미국 지상파 방송에서 아시안 배우, 그중에서도 한인 배우들이 잇따라 주연을 꿰차는 것은 매우 이례적인 것으로 평가된다.

특히 ‘프레시 오프 더 보트’처럼 아시안 가정을 전면에 내세운 시트콤 드라마는 지난 1994년 한국계 코미디언 마거릿 조가 주연한 ‘올 아메리칸 걸’(All American Girl) 이후 20년 만이다.

미국 TV 드라마에서 아시안이 주연을 맡은 것은 드라마 ‘미스터 티와 티나’(1976년), ‘겅호’(1986∼87년), ‘오하라’(1987∼88년) 등 몇 편에 불과하다.

게다가 이 드라마들이 모두 ABC에서 방영됐다는 점도 눈여겨볼 대목이다. ABC가 지상파 경쟁사인 NBC·CBS와의 차별화 전략으로 문화적 다양성(diversity)을 추구해왔기 때문이라고 미국 언론들은 전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