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아베담화’ 본 뒤 한중일 정상회담 판단할듯” <교도>

“중국 ‘아베담화’ 본 뒤 한중일 정상회담 판단할듯” <교도>

입력 2015-03-17 09:34
수정 2015-03-17 09:3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3국 정상회담 8·15 이후로 미뤄질 듯”

중국은 올해 8월15일을 즈음해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발표할 전후(戰後) 70년 담화(일명 아베 담화) 내용을 지켜 본 뒤 한중일 정상회담에 대한 입장을 정할 방침이라고 교도통신이 17일 보도했다.

통신에 의하면, 중국은 아베 담화 내용을 확인한 뒤 한중일 정상회담 개최 시기에 대해 판단하겠다는 의향을 일본 정부에 전달했다. 그러면서 중국은 아베 담화가 ‘1998년의 공동선언을 포함, 양국 간에 작성된 4개의 기본 문서를 준수할 필요가 있다’는 입장을 복수의 외교경로를 통해 일본 측에 전했다.

1998년 당시 장쩌민(江澤民) 중국 국가주석과 오부치 게이조(小淵惠三) 일본 총리가 발표한 공동선언은 ‘중국에 대한 침략’ 표현과 함께 무라야마(村山) 담화(1995년 전후 50년 담화)의 계승 방침을 담은 것이다. 4개 기본 문서에는 1972년 중일 공동성명, 1978년 평화우호조약, 2008년 전략적 호혜 관계에 대한 공동성명도 포함된다.

결국, 중국은 아베담화와 관련해 ‘납득가능한 기준’을 일본 측에 제시한 것으로 풀이된다. 무엇보다 담화에 ‘침략’이라는 표현이 들어갈지 여부를 중시할 전망이다.

아베 총리는 식민지배와 침략에 대한 반성과 사죄를 담은 무라야마 담화를 “전체적으로 계승”한다면서도 식민지배, 침략, 반성 및 사죄 등 무라야마 담화의 핵심 표현을 아베 담화에 담을지에 대해 모호한 입장을 유지해왔다.

이에 따라 올해 한국이 의장국인 한중일 정상회담과 그것을 계기로 열릴 양자 정상회담은 여름 이후로 미뤄질 공산이 커졌다고 교도는 전망했다.

한중일은 이달 말 서울에서 개최될 3국 외교장관 회의 때 정상회담 개최 문제를 논의할 예정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