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지식인 225명 “아베담화에 사죄·반성 다시 표명해야”

일본지식인 225명 “아베담화에 사죄·반성 다시 표명해야”

입력 2015-06-08 15:10
수정 2015-06-08 15:1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軍위안부 문제 해결 시급…위안소 운영, 일본군이 주체인 것 명백””공통의 역사인식 확장하면 한일 관계 위기극복 가능”

한반도 전문가가 주축이 된 일본 지식인 200여 명이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발표할 전후 70년 담화에 사죄와 반성을 명확히 표명하고 일본 정부가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에 나서라는 성명을 발표한다.

이미지 확대
일본 지식인 ”아베 담화에 사죄 다시 표명해야” 집단 성명
일본 지식인 ”아베 담화에 사죄 다시 표명해야” 집단 성명 와다하루키(和田春樹) 도쿄대 명예교수 등 일본 지식인 270명이 8일 ’2015년 일한 역사문제에 관해 일본 지식인은 성명한다’는 제목으로 한국과 일본 사이의 역사 문제에 관한 견해를 발표했다. 이들은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8월에 발표할 전후 70년 담화에서 식민지배와 침략에 관해 사죄와 반성의 뜻을 다시 표명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사진은 이날 발표된 성명서.
연합뉴스
와다 하루키(和田春樹) 도쿄대 명예교수 등 일본 지식인 225명은 ‘2015년 일한 역사문제에 관해 일본의 지식인이 성명한다’는 제목으로 역사문제를 두고 악화한 한일 관계에 관한 견해를 8일 오후 일본 참의원 회관에서 발표한다.

연합뉴스가 미리 확보한 이번 성명서 초안은 아베 총리가 한일 수교 50주년인 올해 발표할 전후 70년 담화가 “고노(河野)담화, 무라야마(村山)담화, 간 나오토(菅直人)담화 등 그간 일본 정부의 역사문제 담화의 계승을 확인하는 것에서 출발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또 “아시아 여러 나라에 대한 침략과 식민지배가 중국, 한국 등 아시아 이웃 여러 나라 사람들에게 손해와 고통을 초래했다는 것을 재확인하고 반성과 사죄의 마음을 다시 표명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제언했다.

성명서는 한국과 일본 사이에 존재하는 여러 역사 문제 중 가장 해결이 시급한 것으로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꼽았다.

이들은 “고노담화 이후 일본 정부에 의해서도, 한국과 일본의 연구자·시민에 의해서도 위안부 제도에 관한 새로운 자료가 발굴·공개됐다. 이에 따르면 위안소의 설치·운영·관리는 민간업자가 아니라 바로 일본군이 주체가 돼 했다는 것이 더욱 명백해졌다”며 일본이 국가 책임을 인정할 것을 촉구했다.

고노 담화에 근거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에게 사죄하고 속죄한다는 뜻을 담아 1995년 시작된 아시아여성기금 사업에 관해서는 한국 정부가 인정한 피해자의 3분의 2 이상이 기금이 지급하는 돈을 거부했으며 이런 점 등을 고려할 때 일본 정부의 사죄 사업이 한국에서는 미완이라고 평가했다.

또 작년 6월 일본군 위안부 문제 아시아연대회의가 사실 인정에 기반을 둔 사죄와 배상 등을 중심으로 피해자가 수용할 수 있고 일본 정부도 실행할 수 있는 해결책을 제안했다며 실행을 촉구했다.

지식인들은 현재의 한일 관계가 ‘헤이트 스피치’(hate speech, 특정 집단에 대한 공개적 혐오 발언·시위)와 같은 병리 현상 등 역류에 직면해 있다고 진단했다.

이들은 “우리는 동요도 후퇴도 하지 않는다. 공통의 역사 인식을 확장하면 일시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다. 새로운, 인간적인 일한 협력의 100년을 연다는 결의를 지금 다시 확인하고 우리는 일한 양국 국민과 함께 전진할 따름”이라고 밝혔다.

이번 성명에는 와다 명예교수, 미즈노 나오키(水野直樹) 교토(京都)대 교수, 하야시 히로후미(林博史) 간토가쿠인(關東學院)대 교수, 이시자카 고이치(石坂浩一) 릿교(立敎)대 준교수, 우에노 지즈코(上野千鶴子) 도쿄대 명예교수, 우쓰미 아이코(內海愛子) 오사카 게이호(經法)대 아시아태평양연구센터 특임교수, 오타 오사무(太田修) 일본 도시샤(同志社)대 교수 등 17명이 발기인으로 나섰고 한반도 전문가를 중심으로 225명이 찬성했다.

성명에 참여한 한 교수는 이번 성명이 한일 병합조약이 무효임을 확인한 2010년 공동성명의 연장 선상에서 이뤄진 견해 표명으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