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seoul.co.kr/img/upload/2015/08/12/SSI_20150812183247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5/08/12/SSI_20150812183247.jpg)
중국 언론들은 12일 자하로바 대변인을 크게 보도하며 “중·러 관계가 더 발전할 것”이라는 기대감을 나타냈다. 중국이 자하로바 대변인을 환영하는 이유는 그가 어릴 적 외교관이었던 아버지를 따라 베이징에 거주한 경험이 있는 데다 주요국 외교 대변인으로는 드물게 중국어를 유창하게 구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신화통신은 “베이징 아가씨가 러시아의 대변인이 됐다”면서 “그동안 외교관으로 생활하며 국제 무대에서 냉정하고 야무진 인상을 여러 차례 남겼다”고 평가했다.
더욱이 중국 외교부에도 여성 대변인 화춘잉(가운데)이 있다. 미국과 외교 현안을 놓고 갈등할 때 중·러 여성 대변인이 보조를 맞추면 시너지 효과가 날 것으로 기대하는 눈치다. 특히 미국 백악관을 대변하는 젠 사키(오른쪽) 공보국장도 여성이다. 사키 국장은 지난 3월까지 국무부의 대변인이었다. 미·중·러의 여성 대변인 경쟁시대가 열렸다.
베이징 이창구 특파원 window2@seoul.co.kr
2015-08-13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