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사, 물 흔적 발견 뒤 딜레마
“화성에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한다”는 미국 항공우주국(나사)의 발표 직후 과학자들이 3년 전 화성에 도착한 탐사로봇 ‘큐리오시티’를 놓고 ‘딜레마’에 빠졌다. 큐리오시티에 묻어간 지구의 세균과 바이러스가 화성의 청정지역에 퍼질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라고 영국 일간 가디언은 29일(현지시간) 전했다.![화성탐사로봇 큐리오시티](https://img.seoul.co.kr/img/upload/2015/09/30/SSI_20150930183037_O2.jpg)
![화성탐사로봇 큐리오시티](https://img.seoul.co.kr//img/upload/2015/09/30/SSI_20150930183037.jpg)
화성탐사로봇 큐리오시티
지구의 미생물이 탐사지역에 퍼진다면 큐리오시티가 발견한 미생물이 지구에서 옮겨 간 것인지, 화성의 것인지 판별할 수 없게 된다. 또 이미 화성에 존재할지도 모르는 다른 미생물이나 생명체의 생존을 위협할 수도 있다.
나사의 큐리오시티가 탐사할 지역은 RSL로 불리는 지형이다. 거대한 분화구와 협곡 아래 액체 상태의 소금물이 만든 것으로 추정되는 곳이다. 2012년 8월 화성에 안착한 큐리오시티는 이곳에서 당분간 탑재된 레이저를 이용해 탐사를 이어 갈 계획이지만 조만간 바닥까지 내려가 토양을 채취해 분석하게 된다.
국제우주연구위원회(Cospar)는 이 같은 상황을 감안, 이미 태양계의 행성 보호 규칙을 제정한 상태다. 규정에 따르면 RSL과 같이 생명체 존재 가능성이 높은 지역에는 4c급 이상의 멸균 탐사로봇만 들어갈 수 있다. 하지만 큐리오시티는 4b급으로 수준이 한 단계 떨어져 진입이 금지된다.
큐리오시티의 카메라 장치를 담당한 앤드루 코에츠 영국 런던대 교수는 “다음주나 다음달 본격화될 큐리오시티의 탐사 활동 허용 영역을 놓고 벌써부터 논쟁에 불이 붙고 있다”고 전했다.
반면 나사의 짐 그린 연구원은 “화성의 강한 자외선과 방사선이 지구의 미생물을 이미 멸균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 같은 논리는 “화성 대기에서 자외선이 오히려 (지구) 미생물의 생존력을 강화할 수 있다”는 미국 국립과학아카데미의 보고서를 뛰어넘어야 한다.
일각에선 2018년 유럽연합(EU)과 러시아가 합작해 화성에 보낼 엘소마르소에게 청정지역 탐사를 맡기자는 대안도 떠오르고 있다. 일단 주사위는 던져졌다. 나사는 딜레마에 빠졌지만 큐리오시티는 화성이 과거 생명체가 살 수 있었던 공간이라는 증거를 찾아 이미 분화구 주위를 돌아다니고 있다.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
2015-10-01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